◇synomym complex, advanced, complicated, subtle, delicate, elaborate, refined, intricate, simple, cultured, cultivated, worldly 1. having a lot of experience of the world and knowing about fashion, culture and other things that people think are socially important세련된, 교양 있는- The company is a master at creating grown-up clothes that make women look pretty and sophisticated and, of course, well-to-do. - Lily Collins is elegant, sophisticatedand sexy. 2. (of a machine, system, etc.) clever and complicated in the way that it works or is presented(기계, 시스템 등이) 정교한, 복잡한- sophisticated electronic dev
結者解之. 매듭을 묶은 자가 매듭을 풀어야 한다. 일을 저지른 사람은 책임을 지고 일의 뒤끝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결국 자신이 꼰 새끼에 자신을 묶을 수가 있다. 미국경상수지 적자의 해법을 둘러싼 미국과 주변국간의 다툼이 이 격언을 떠올리게 한다. 기축통화 국가인 미국은 누적되는 경상수지 적자를 결자해지 않고 주변국들에게 떠넘겨 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브레튼우즈 체제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미국달러의 기축통화의 지위는 브레튼우즈 체제로부터 비롯된다. 1944년 미국의 뉴햄프셔주의 브레튼우즈에서 성립된 국제통화질서는 금환본위체제로, 달러에 기축통화의 기능을 부여하였다. 미국은 금 1온스당 35달러로 달러가치를 유지하고, 각국은 기축통화인 달러와 자국통화간의 교환비율로 환율을 결정하였다. 하지만 브레튼우즈체제는 치명적인 약점을 품고 있었다. 이는 유동성과 달러신인도간의 상충문제였다. 각국의 달러유동성은 미국의 수입을 통해 충족되는데, 미국은 경상수지 적자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한다. 하지만 달러과잉이 되면 달러의 신인도가 하락하게 된다. 반면 달러의 신인도를 지키기 위해 달러유출이 줄어들면 국제유동성은 부족해진다. 이를 트리
◇synomym : right, dueness, advantage, claim, freedom, liberty, concession, entitlement 1. a special right or advantage that a particular person or group of people has(특정 개인・단체가 갖는) 특전[특혜] - Education should be a universal right, not a privilege.- It is unfair that one person should start life with more privilege for no reason other than birth. - You can enjoy all the benefits and privileges of club membership.- graduation speech, Jennings asked his classmates to consider whether a Harvard education was a privilege or a responsibility... 2. (disapproving) the rights and advantages that rich a
11일 국제결제은행(BIS)의 발표에 의하면, 작년 말 우리나라의 국민총생산(GDP)대비 가계부채비율이 2015년 말 88.1%에서 92.8%로 상승하였다. 그럼에도 은행관계자들은 시중은행의 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단 제2금융권등의 부실이 제1금융권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염려된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 수준이 80%수준을 넘어선 점은 우려할 대목이라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입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과도한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 수준은 경제성장이 악화되기 시작하는 입구의 의미를 가진다. 소비증가와 경제성장이 꺾이는 문턱(threshold)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가계부채가 경제성장에 기여하지만, 일정 수준의 기준점을 넘게 되면 오히려 경제에 독이 된다는 의미이다. 강종구 한국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8일 <국제적 관점에서 본 가계부채 리스크에 대응한 정책과제>세미나에서, “단기에 가계부채 증가는 소비와 투자를 늘리는 효과를 가져 온다.”며, “이는 가구의 신용제약을 제거하여 소비를 평활화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하였다. 하지만 강 이코노
◇synomym: pollute, infect, stain, corrupt, taint, defile, befoul 1. to make a substance or place dirty or no longer pure by adding a substance that is dangerous or carries disease (물질이나 장소를) 오염시키다- Toxic nonstick chemicals contaminate drinking water for 15 million Americans.-Provision should be made for the removal of the carbon dioxid and other products, as they contaminate the air. 2. to influence people’s ideas or attitudes in a bad way(사람들의 생각이나 태도를) 오염시키다, 악영향을 주다(타락시키다)- They were accused of contaminating the minds of our young people.- The hope, according to Rucker, is that Beck doesn’
더위를 잊는 데는 물놀이만한 것이 없다. 계곡과 바다뿐만 아니라, 집 근처 물놀이장도 가족의 물놀이 나들이에 부족함이 없다. 경기도 성남시가 운영하는 탄천 물놀이장도 여름 한 때를 보내기에 안성맞춤이다. 지난 10일 개장한 탄천 물놀이장은 누구나 입장료 없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물놀이장 언저리에 개인 텐트를 세우고 수박과 참외를 나누어 먹는 정이 그만이다. 그런데 공공 물놀이장은 원하는 이용자를 모두 수용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이용자들의 수가 증가하는 초등학생들의 방학 기간등에 물놀이장의 혼잡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하철 분당선 정자역 근처에 위치한 정자물놀이장의 안전 관리인은 이에 대해 “물놀이장은 충분한 수용능력이 있다.”고 말한다. 그는 “탄천 물놀이장은 정자 물놀이장 뿐만 아니라 야탑 맴돌 태평 구미에도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들이 곳곳으로 분산된다.”며 수요량의 소화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탄천 물놀이장엔 성남시의 적절한 시설의 설치 관리로 인해 공공재의 혼잡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혼잡가능공공재 vs 순수공공재 공공재의 혼잡문제는 혼잡가능공공재(congestible public goods)로 설명할 수 있
◇synomym: underscore, punctuate, play up 1. to emphasize something or make it more noticeable강조하다, 두드러지게 하다- A situation like the current one is likely to accentuate his weakness.- “ Beauty and the Beast ” pairing: Pungency is contrasted with sweetness to accentuate the taste spectrum. - I want to accentuate the positive in my speech. 2. pronounce with an accent… 에 악센트[강세]를 붙이다- Sometimes we have to accentuate on words to appeal to them. ▲underscore : = italicize (밑줄을 긋다. 강조하다)The proclamation on the reform drive again underscores. ▲punctuate : ①give emphasis to : She kept talking, usin
국회에서 영화 직지코드 시사회가 열린다. ‘한국영화를 사랑하는 국회의원 모임’(대표의원 조승래, 전재수)은 21일(수) 저녁 6시30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역사추적 다큐멘터리 직지코드의 무료시사회를 개최한다. 영화 직지코드의 제작진은 하나의 가설을 검증해간다. 가설은 경험적 증거(empirical evidence)에 의해 이론화된다. 28일 개봉되는 다큐멘터리 직지코드의 가설은 ‘서양최초 금속활자가 동양 고려의 금속활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은 고려 우왕 때인 1377년에 간행된 《직지심체요절》로, 독일 구텐베르크의 42행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78년이나 앞서 만들어졌다. 제작진은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등 유럽 5개국 7개 도시를 횡단하며, 다이내믹하고 집요하게 두 금속활자 인쇄본들 간의 숨겨진 관계를 하나씩 밝혀 간다. 시사회엔 관객과의 만남도 마련되어 있다. 영화를 연출한 우광한감독과 데이빗 레드먼감독, 그리고 직지코드 제작자인 정지영 감독과 장동찬 PD가 상영전 인사,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사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관객들은 의원 회관 2층 안내실에서 신분증을 맡기고
1. pressure on somebody/something because they have too much to do or manage, or something very difficult to deal with; the problems, worry or anxiety that this produces(심리적) 부담, 긴장; 무리, 과로(excessive effort); 중압감, 압박감- The employees are under a lot of strain at their project because their boss is pushy. (그 직원들은 강압적인 상사에 의해서 그들의 프로젝트에 부담을 갖고 있다.)- Reaching his best age to marry, the young man hasstrain about meeting his close relatives. (결혼 적령기에 이른 그청년은 가까운 친척을 만나는데 부담감을 느낀다.) 2. the pressure that is put on something when a physical force stretches, pushes, or pulls it당기기, 팽팽한 상태, 긴장(pull, ten
봄날의 따뜻함으로 사랑하며, 장벽에 무릎 꿇지 않고 당당히 맞서며, 그리고 뜨겁게 보듬고 얼싸안는다. 옥자는 14세 산골 출신 소녀의 액션 어드벤처가 안겨주는 장르적 미덕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또 아픔의 여운도 길다. 이는 구조적 욕망에서 분출된 것으로, 사회의 어두운 그림자에 대한 봉준호의 예민한 감수성에 휘감긴 탓일 게다. 옥자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작품의 표층을 뚫고 들어가면 무시무시한 기층이 도사리고 있다. 구조에 대한 알레고리가 꽈리를 틀고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장르의 쾌감 봉준호가 잡은 터는 무엇보다 장르의 쾌감이다. 그러므로 감독의 민감성은 장르의 미덕을 어떻게 드높일 것인가에 있다. 옥자는 이러한 감독의 고민을 해소해주는데 성공한 듯하다. 이는 장르의 새로운 개척에서 비롯된 것이다. 봉준호는 지금까지의 작품에서 스릴러 구조를 통해 긴장의 서스펜스라는 과녁을 맞추는데 집중하였다. 이러한 스릴러 양식은 그가 탐구하는 사회적 문제의식과 조응하는 면이 없지 않았다. 봉준호는 옥자에서 예의 스릴러의 외피를 벗고 액션 어드벤처물의 새 옷을 걸쳤다. 새 옷은 기존 회색의 분위기를 반전시키며 분홍의 질감을 안겨준다. 그래서 사랑스러우
Approach 1. to come near to somebody/something in distance or time(물건·장소 등에) 가까이 가다[오다], 다가가다[오다], 접근하다(come or go near to) - We heard the sound of an approaching combat plane slowly. (우리는 점점 다가오는 전투기의 소리를 들었다.) - Public transport, especially bus is fast approaching when we go somewhere. We call it Murphy’s law. (우리가 급히 어딘가로 가야 할 때면, 특히 버스 같은 대중교통은 빠르게 다가온다. 이것을 머피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2. to come near to condition(성질·때·상태 등이) …에 가깝다, 근접하다, 육박하다(become more like) - The Mona Lisa is the one of the paintings that approach perfection. (모나리자는 완벽에 가까운 작품 중에 하나이다.) - The research team for environment impro
부산 아미동 산 19번지의 일본인 공동묘지가 사람이 사는 정착지로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사연은 먼저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일본인들의 조선인 추방과 관련되어 있다. 부산부는 1937년 간선도로와 광장의 건설을 위해 매축지나 도로변에 있는 조선인들을 곡정(아미동)등 산속으로 추방하였다. 또 부산의 많은 토지를 소유한 일본인들은 차지료를 인상하여 이를 감당할 수 없는 조선인들을 산속으로 내몰았다. 이렇게 정치권력과 경제 권력을 장악한 일본인들은 조선인들을 평지에서 아미동등 산속으로 쫒아낸 것이다. (차철욱) 6.25전쟁 이후 아미동은 1950년대 이후로 인구 증가를 맞게 되는데, 이는 휴전이후 시내 판잣집들의 철거와 관련 깊다. 철거민들이 아미동등으로 이주해 온 것이다. 정부와 부산시는 도시미관, 위생문제, 교통난을 이유로 들어 판잣집을 철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피난민들은 밤에 집을 다시 세워 부산시의 행정력에 도전하였다. 한 증언에 의하면, 이승만 관사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보수동 산동네에 판잣집이 세워지는 것을 싫어한 이승만대통령이 판잣집 건축을 제지하도록 지시하였지만, 피난민들은 밤에 외관을 만들고 낮에 내부공사를 하여 판잣집을 지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