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외국어

[Pop & English] ① James Arthur의 < Recovery >

영국의 싱어 송 라이터, 제임스 아서(James Arthur, 1988~)가 부른 <Recovery>는 자존감에 상처를 입은 이가 자존감의 회복을 위해 싸워나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허스키보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진정성 있는 울림은 증오와 오만의 폭탄을 퍼붓는 이들이 위세를 떨치는 세상에서 작은 위로가 되고 있습니다. 

<Recovery> sung by James Arthur
https://www.youtube.com/watch?v=m9DO3zpdWqw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I don't want to play this game no more
I don't wanna play it
I don't want to stay 'round here no more
I don't wanna stay here
Like rain on a Monday morning
Like pain that just keeps on going on

더 이상 이 게임을 하고 싶지 않아요
하고 싶지 않아요
더 이상 여기 근처에 있고 싶지 않아요
여기 머물고 싶지 않아요 
(여기 머무는 건)월요일 아침에 내리는 비 같아요
계속되는 통증 같아요

*  I don't want to stay 'round here no more  :
‘stay’는 ‘머물다’는 뜻을 가지고, ‘around(주변에)’와 결합하여 한 장소에 의식적으로 머물러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stay around와  유사한 표현으로, ‘stick around’가 있는데요. 그 의미는 ‘to remain in a place, esp awaiting somethig’, 그리고 그 예는 ‘Stick around, we’ll need you to help us later(가지말고 있어, 나중에 네가 우리를 도와줘야 할 거야)’입니다.


*Like pain that just keeps on going on:
‘keep(유지하다)’와 ‘go(가다)’는 확연히 다른 의미를 가진 동사이지만, ‘on’이 더해져 ‘turn on(켜다)’처럼 일정한 상태가 시작되어 계속 유지되는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keep on’, ‘go on’은 모두 ‘계속 되다, 지속되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keep on going on’도 ‘continue’의 뜻을 지닙니다. 이에 대한 예문으로 ‘Why doen’t that process just keep on going on indefinitely?(왜 그런 과정이 무한히 계속되지 않는 거죠?)가 있습니다. 



Look at all the hate they keep on showing
I don't want to see that
Look at all the stones they keep on throwing
I don't want to feel that
Like Sun that will keep on burning
I used to be so discerning, oh

그들이 보여주는 증오를 봐요 
그  꼴을 보고 싶지 않아요
그들이 계속해서 던지는 돌들을 봐요 
난 그걸 느끼고 싶지 않아요 
계속해서 타오르는 태양처럼 
난 한때 꽤 분별력이 있었는데

*I used to be so discerning, oh:
‘안목이 있는’이라는 뜻의 discerning은 ‘discriminating’과 동의어입니다. ‘discriminating’은 ‘able to know and act on the difference between good and bad’또는 ‘able to judge the quality of something based on its difference from other, similar things’라는 뜻을 가집니다. 이를테면 ‘좋고 나쁨을 식별할 수 있는 소비자’를 ‘discriminating shoppers’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명사 discrimination의 뜻은 차별, 안목(=discernment), 식별력입니다. 



In my recovery
I’m a soldier at war
I have broken down walls
I defined
I designed
My recovery
내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난 전쟁터에 군인 같았어요
난 장벽들을 무너뜨려왔지요 
난 정의했고
난 설계했지요 
나의 회복을

In the sound of the sea
In the oceans of me
I defined
I designed
My recovery
바다의 소리 안에서
나의 바다 안에서
난 정의했고
설계했지요 
나의 회복을 




영국의 싱어 송 라이터인 제임스 아서(James Arthur, 1988~)는 내면의 성찰을 음악에 담아내는 소울싱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2012년, 오디션 프로그램 ‘The X Fator’ 시즌 9에서 우승 한 후, 가수로서의 명성을 얻기 시작합니다. 

그의 데뷔 싱글은  ‘The X Fator’ 결승전에서 불렀던 곡인 <Impossible>입니다. 

이 곡은 원래 바베이도스(Barbados:중앙아메리카의 카리브해에 위치한 섬나라)출신의 여가수, 숀 텔(Shontelle)이 2010년 발표한 앨범 <No Gravity>에 수록된 곡이었습니다. 아서가 원곡을 자신의 노래로 재해석 한 것이지요. 

아서는 2013년, 방황을 거쳐 얻게 되는 영적인 성장을 노래한 정규앨범 1집 <James Arthur>를 발표합니다.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