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5년 12월 28일. 프랑스 파리, 그랑 카페 지하의 인디안 살롱. 관람료로 1프랑을 낸 33명의 관객이 본격적인 대중영화의 개막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이들이 관람한 영화는 뤼미에르 형제가 제작한 대략 1분 분량을 한 개의 쇼트(one shot)로 찍은 영화들이었습니다. 뤼미에르 형제가 당시 영화 상영회를 개최했을 때, 신문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좁은 공간에서 이 짤막한 시간에 사람들은 하나의 전 세계가 지나가는 것을 본다. 생명도 움직임도 없는 경직된 영상들로서가 아니라 실제 살아있고 생산하고 창조하는 하나의 세계를 완전히 현실과 같은 그러한 세계를 본다. ...그것은 거의 기적적인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신문이 뤼미에르의 영화를 기적이라 표현한 것은 세계가 화면위에서 움직임으로 재생되고 있어서였습니다. 움직임과 움직임의 재현에 대한 사람들의 오래된 소망이 결국 현실로 나타난 것이지요. ◆고대인의 움직임의 재현에 대한 시도 뤼미에르 형제 이전에도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는 다양했습니다. 움직임에 대한 동경은 기원전 예술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를테면 고대인은 라스코 동굴 벽화에 동물의 동적, 입체적 특성을 그려내고자 하였습니다.
Ease noun. 편안함, 쉬움, 안락함 / verb. 편해지다, 조심조심 움직이다, 느슨해지다 ease-eased-eased -To make or become less severe, difficult, unpleasant, painful, etc. -To move or to make something move slowly and carefully in a particular direction or into a particular position Noun>> easer 편안하게 하는 사람, 경감하는 것, 제거하는 것 Adjective>> easy 쉬운, 용이한, 편안한, 안락한 Synonym>> relieve, calm, soothe, lessen, alleviate, reduce, creep, slide, relax, lighten Idiom>> -ease up 속도를 줄이다, (정도가) 덜해지다 / at (your) ease 마음이 편안한, -ease off 완화시키다 / ease into something -에 익숙해지다, 익숙해지도록 돕다 -ease someone out of something
한 인물이 기존의 도식을 깬다. 그가 개혁적인 시도를 할 때, 현재는 희망적인 미래를 위해 봉사하게 된다. 과거의 정태성에 도전장을 내고, 현실을 개조하는 한 인물의 창조적 시도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게 되는 것이다. 1950년대 프랑스. 소녀 같은 건강성을 자랑하는 한 여배우가 그랬다. 그녀의 이름은 브리지트 바르도(이하 BB) 1956년 11월 28일. 22살의 BB가 출연한 영화 한편 <그리고 신은 여자를 창조했다>가 프랑스에 개봉된다. BB의 등장은 프랑스 젊은 여인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다. BB가 기존의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념에 저항하고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BB 이전에 아름다운 여인의 표준은 규격화된 관능적 몸매를 지닌 여성상이었다. 코르셋으로 배와 허리를 조이고, 종아리의 두께를 다듬고, 눈썹을 단정하게 정리하는 여인상이 아름다운 여인의 기준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BB는 새로운 미의 여인상이었다. 젊음과 자유라는 보편적인 개념을 내세우며, 건강하고 살아 움직이는 몸을 자랑하였다. 정형화된 아름다움에 순응하기보다 자신을 어떻게 개성있게 표현하는가가 아름다운 멋이라는 새로운 미의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BB는 ‘새로운
<온돌뉴스>가 세계영화사를 탐구하는 시리즈 연재를 시작합니다. 영화전공자인 박서아기자가 담당하는 영화사 시리즈는 영화유아기(1880~1919년)를 시작으로 무성영화시대(1919~1929), 유성영화시대(1926~1945)를 거쳐 세계대전 이후의 영화, 할리우드 영화사에 이르는 세계영화사의 전반을 조망합니다. 영화는 팍팍한 삶을 위로하는 놀이이며 동시에 인생의 중요한 결정에 도움을 주는 모델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제대로 된 모델의 관찰은 영화의 기초적인 학습을 전제로 합니다. ‘세계영화사 시리즈’가 이러한 학습에 적은 힘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영화는 다른 어떤 예술매체보다 핍진성이 강하다는 평이다. 핍진(逼眞)성 (verisimilitude: veri-진실, similis-같은)은 그럴듯하고 있음직하여 진실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인데, 영화가 핍진성을 잘 나타낼수록, 보는 이의 이성과 감성에 강력한 공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핍진성이 제대로 반영되는 영화 형식은 사실주의이다. 체험을 그대로 포착하는 사실주의의 영화는 실제세계를 거울처럼 비추는데 초점을 둔다. 실생활의 사건들이 박진감 있고 생생하게 표현될수록 관객들은 현장을 체험하는 듯한 착각 속에 빠져들게 된다. ◆현대영화의 창시자 뤼미에르 형제 사실주의적 전통의 창시자는 뤼미에르 형제이다. 1890년 중반에 프랑스의 루이 뤼미에르와 오귀스트 뤼미에르 형제가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와 여러 사람들에게 상영이 가능한 영사시스템을 고안하였다. 뤼미에르형제가 현대영화의 선구자라는 평판을 얻는 이유이다. 뤼미에르 형제의 영화 이전에 에디슨의 조수 딕슨은 1893년 카메라를 개발하여 짧은 35mm 영화를 만들었다. 당시 미국의 대형 카메라는 크기가 사무실 책상만 하였다. 에디슨의 영화는 영화스튜디오인 블랙마리에서 촬영되었다. 전체 건물은 해의
Assume verb. (사실일 것으로) 추정하다, (권력•책임을) 맡다 assume-assumed-assumed To accept something to be true without question or proof 의문이나 증거 없이 어떤 것을 사실이라고 받아들이는 것 Noun>> assumption 추정, 상정, 인수 Adjective>> assumptive 가정의, 추정적인, 주제넘은, 거만한 assumable 가정할 수 있는, 맡길만한 Synonym>> presume, think, believe, expect, suppose, take, accept, shoulder, imagine, fancy, know, take for granted Idiom>> assume the title -라고 자칭하다 / assumes air 젠체하다, 뽐내다 / assme the chair 의장이 되다 ▶10 ways to have a better conversation 더 나은 대화를 위한 10가지 방법 “You need to enter every conversation assuming that you have someth
미국의 통치시스템은 신속하게 정치적 의사결정을 내리기 힘든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대통령과 의회라는 각각의 기관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어 대통령과 의회간의 의견 대립이 번번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정치적 교착상태를 초래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중도파의원의 감소에 있습니다. 미국의 의회는 당파의 결속이 강한 정당제도를 특징으로 합니다. 민주당의원은 보다 진보적으로, 공화당의원은 보수적으로 양극단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양당 간의 협의가 용이하지 않은 이유입니다. 그러므로 중도파의원이 어느 정도 존재하면 이러한 정치적 양극화는 완화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당파와 이데올로기와의 관계가 약했던 시대에는 분점정부 하에서도 양당의 협력을 통한 합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정치 교착 현상 이처럼 정치적 양극화는 정치적 의사결정에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고, 협력과 타협이 어려운 정치적 교착상태를 초래합니다. 미국의 이런 사례는 우리나라의 정치토양에도 적용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회 구도는 미국과 달리 다당제의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런 다당제는 정치적 교착상태를 해소하는 유용한 기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
"당신의 기억은 사실이 아닐지 모른다.” 영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에서, 토니는 자신의 기억 속의 과거와 실제의 과거가 달랐다는 것에 후회로 가득 찬 목소리로 이렇게 말한다. 토니는 40년 전 자신의 친구 에이드리언에게 보낸 저주에 찬 한 통의 편지가 엄청난 파국을 몰고 왔다는 사실을 그동안 인지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확신에 찬 기억도 상황에 대한 이기적이고 독단적인 해석의 결과라는 사실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우리는 종종 편향되고 독단적인 기억 속에서 관계를 해친다. 이렇게 윤색된 기억은 진실 된 과거와 충돌하게 된다. ◆ 사전편집식과 연속제거식 우리는 대안을 평가할 때, 사전 편집 방식을 곧 잘 사용한다. 이는 자신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속성에서 최상으로 평가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상표를 선택한다고 하자. 제품 속성으로 가격· 디자인· 안전성등이 주어져 있을 때, 소비자가 가격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디자인을 다음으로 중요시 여긴다면, 그는 가격이 가장 저렴한 상표를 대안으로 선택하게 된다. 연속제거방식도 대안 평가의 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소비자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각각의 속성에 대한 평가점수가 최소 어느
중국 공산주의 혁명을 이끈 모택동은 중국내에서 양가적 평가를 받고 있다. 빛이 그림자에 의해 감추어지듯이, ‘혁명의 영웅 모택동'은 '문화대혁명의 지도자 모택동'의해 가려지고 있다는 평이다. 모택동도 자신의 업적에 대한 양면적 평가를 인정하였다. 1977년 중공중앙공작회의 폐막식에서 “내 일생에 두 가지 일을 했다”며, “하나는 장개석을 몇 개의 섬으로 내쫓고, 일본을 집으로 보낸 일이다. 다른 한 가지 일은 당신들이 잘 알고 있듯이 바로 문화대혁명을 일으킨 것이다. 이 일은 옹호하는 사람이 많지 않고 반대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1981년 6월 27일,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건국 이래의 몇 가지 역사적 문제에 대한 당의 결의(建國以來黨的若幹歷史問題的決議)〉에서 문화대혁명에 대해 '문화대혁명의 좌편향 과오 그리고 이러한 과오가 거대한 규모로 장기간 지속된 것에 대한 책임은 마오쩌둥 동무에게 있다'라고 발표했다. 이처럼 모택동은 중국본토에 중화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데 절대적으로 기여한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지만, 1966년 5월부터 1976년 10월까지 극좌 사회주의 운동인 문화대혁명(문혁)을 주동한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 10
verb. 풀어주다, 놓아주다, 석방하다, 공개하다, 발표하다 release-released-released To give freedom or free movement to someone or something 누군가 혹은 어떤 것에게 자유나 자유로운 움직임을 주는 것 Noun>> release 석방, 풀어줌, 발표, 해방 / releaser 해방시키는 사람 repeatability 석방 가능성, 해방가능성 Adjective>> releasable 석방 가능한, 포기 할 수 있는 Synonym>> set free, discharge, liberate, loose, extricate, drop, undo, acquit, let go, absolve, exonerate, publish, issue, launch Idiom>> day-release 연수휴가제 / time-release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press release 대언론공식발표 / slow-release 점진적 감소의 ▶Is “Despacito” the song of the summer or not? “Despacito”는 이번 여름의 노래일까 아닐까
정세균 국회의장이 1일 여야 의원들에게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촉구한 것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입법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의장은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양당체제를 상정하고 설계된 선진화법이 다당체제의 정치적 역동성 발휘를 어렵게 하고 있다.”며 국회선진화법 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특히 정의장은 국회선진화법이 초래하는 정치적 교착상태에 대한 문제점을 언급하면서, 안건조정제도가 다수결의 원리를 훼손하며 예산안 자동부의제도가 의결 기능의 부실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의장은 “정부여당과 국회의장의 담합과 전횡을 방지하기 위해 직권상정 요건을 엄격히 제한한 일도 정치적 교착상태를 풀어갈 리더십 형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요건 완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국 정의장의 선진화법 개정 제안 배경은 국회선진화법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입법교착의 타개와 국회의 입법 생산성 제고에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입법교착 입법교착은 정책의 현상유지를 말한다. 정책의 변화가 없어 정치 환경의 변화와 활기를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이는 의회와 대통령이 정책 개선의 타협에 이르지 못한 결과이다. 입법교착은 정책의 변화 발전을 가
원칙(principle)과 재량(prudence)의 적절한 조화 균형. 이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는 미국 정치 외교의 오래된 숙제가 되어왔다. 원칙의 고수는 현실의 능률을 외면하도록 하고, 재량의 남용은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 원칙과 재량의 융통성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 원칙 – 권력의 분리와 견제 미국 정치 외교의 원칙은 권력의 분리와 견제이다. 미국의 권력분립론의 이념적 기초를 제공한 몽테스키외는 그의 저서 <법의 정신>에서 “권력을 가진 자는 그 권위를 남용하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권력상호간에 견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지적한다. 그러므로 그는 “입법권과 집행권이 동일인이나 집단에 집중되면 자유란 존재할 수 없다.”며 기관간의 힘의 분리를 강조한다. 의회가 정책 의사결정을 담당하고 대통령은 정책을 집행하는 권력분립이 미국 정치외교의 원칙으로 자리하게 된 사상적 배경이 여기에 있다. 그런데 미국의 권력분립은 사실상 법의 지배를 근간으로 하는 의회우월주의를 뜻한다. 미국 헌법에서 대통령은 의회가 결정한 정책을 집행하는 수동적인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예컨대 전쟁권과 관련하여, 대통령은 입법부의 ‘두뇌’와 ‘지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