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국회 예정처 보고서] (2016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특징) 정부정책주도의 단기적이고 현재집중의 성장, 민간부문의 미래적응형 성장과 균형을 맞춰야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R&D투자,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등 미래형 투자에 의한 성장으로 성장의 균형추를 이동시켜, 성장동력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부동산 경기부양등 정부정책에 힘입은 성장, 제조업기반 성장등 단기적으로 현재에 집중하는 성장패러다임과 장기적이고 미래대응적인 성장패러다임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하는 경제동향&이슈2월호에 실린 <2016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특징>에 의하면, 2016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서 정부의 소비와 부동산부양정책이 성장률을 떠받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정부에 의한 성장기여율 비중은 경제성장률의 52%에 이르렀다. 20162.7%p의 경제성장률 중, 정부기여도는 2.2%p였다. 부동산 및 건설 경기부양등 정부 정책에 힘입은 건설투자의 성장기여도가 1.6%p를 차지하였고, 정부소비의 성장기여도도 0.6%p를 나타낸 것이다. 2016년의 건설투자의 성장기여도가 2015년 수준인 0.6%p에 머물렀다면, 우리나라의 2016년의 경제성장률은 1%대로 하락할 수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산업구조측면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성장성은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다. 제조업분야의 연간성장률은 20116.5%에서 20143.5%로 하락한 후, 20151.3%, 20161.7%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내 주력업종인 전기전자기기· 운송장비 관련 제조업이 2016년 들어 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나타내는 등, 제조업의 성장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이제 정부정책에 의존하는 성장에서 민간부문의 가계소비 및 기업의 투자 확대로, 또한 제조업 의존성장에서 지식재산생산물투자의 확대로, 성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저성장시대의 성장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되고 있다. R&D투자와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등의 비R&D투자를 뜻하는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노동력과 자본의 투입에 의한 성장방식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저성장시대에,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동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성장 면에서 여전히 미약하다. 2016년의 성장기여도에서 0.1%p를 보이고 있고, 연간 성장률에서도 2.4%에 머물렀다.

 

예정처는 연구개발투자등을 포함하는 지식재산생산물 투자는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경제성장기반 확보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이라며, “전통적인 요소 투입에 의한 성장이 한계를 보이므로 지식재산생산물투자의 확대 필요성은 점증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