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

[Pop & English] ② ' I Look To You ' : 다다익선과 과유불급




전설적인 디바로 평가받는 이들은  탁월한 가창력의 소유자들입니다. 여기에 기교와 음색까지 더해지면 더할 나위가 없지요. 

휘트니 휴스턴이 그렇습니다. 

머라이어 캐리, 셀린 디옹과 함께 90년대 3대 팝 디바로 꼽히는 그는 폭발적인 성량에다 한 음절을 쪼개 부르는 멜리스마 기교, 깊은 공명감이 뒷받침되는 음색, 게다가 듣는 이의 심금을 흔드는 감성까지 구비한 진정한 팝의 전설이었습니다. 

그녀의 대표곡을 꼽는다면, 단연 영화 〈보디가드〉의 사운드트랙으로 쓰인 휴스턴 버전의 <I Will Always Love You>이겠죠.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차트 14주 1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그러했던 팝의 여제  휴스턴은 보컬 파워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쇠락의 길로 들어섭니다.  과다 흡연· 마약흡입뿐만 아니라 과도한 콘서트 투어로 인한 성대결절이 타고난 가창력을 망가뜨린 원인들의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급기야 2012년 베벌리 힐스의 한 호텔에서 코카인 흡입에 의한 심장마비와 사고로 인한 익사로, 화려함과 추락이 교차하는  48년간의 삶을  마치게 됩니다. 

휴스턴의 굴곡진 삶은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라는 말을 떠올리게 합니다. 

‘많을수록 더 좋다’(또는 ‘빠를수록 더 좋다’)는 보편적 진리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다고 또는 빠르다고 다 좋은 건 아닐 수 있습니다. 많음과 빠름에도 봉우리가 있을 수 있어서입니다. 즉 양과 속도가 최적 정점을 넘게 될 경우, 탈이 나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많을수록 더 좋다’라는 말은, 절제의 브레이크가 파열될 경우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라는 말을 낳을 수 있다는 겁니다.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되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명확한 시간제약성이 필요한 사업이라 할지라도,  신뢰성 있는 제3자의 예비타당성 조사는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최소한의 절대 평가 기준에 미달되어 경제성이 부족한 사업들을 무리 하게 추진하면, 국민모두를 설득시킬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이윤수, “끝나지 않은 딜레마: 영남권 신공항 선정 갈등”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