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

[Pop & English] ② ' I Look To You ' : 다다익선과 과유불급




전설적인 디바로 평가받는 이들은  탁월한 가창력의 소유자들입니다. 여기에 기교와 음색까지 더해지면 더할 나위가 없지요. 

휘트니 휴스턴이 그렇습니다. 

머라이어 캐리, 셀린 디옹과 함께 90년대 3대 팝 디바로 꼽히는 그는 폭발적인 성량에다 한 음절을 쪼개 부르는 멜리스마 기교, 깊은 공명감이 뒷받침되는 음색, 게다가 듣는 이의 심금을 흔드는 감성까지 구비한 진정한 팝의 전설이었습니다. 

그녀의 대표곡을 꼽는다면, 단연 영화 〈보디가드〉의 사운드트랙으로 쓰인 휴스턴 버전의 <I Will Always Love You>이겠죠.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차트 14주 1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그러했던 팝의 여제  휴스턴은 보컬 파워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쇠락의 길로 들어섭니다.  과다 흡연· 마약흡입뿐만 아니라 과도한 콘서트 투어로 인한 성대결절이 타고난 가창력을 망가뜨린 원인들의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급기야 2012년 베벌리 힐스의 한 호텔에서 코카인 흡입에 의한 심장마비와 사고로 인한 익사로, 화려함과 추락이 교차하는  48년간의 삶을  마치게 됩니다. 

휴스턴의 굴곡진 삶은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라는 말을 떠올리게 합니다. 

‘많을수록 더 좋다’(또는 ‘빠를수록 더 좋다’)는 보편적 진리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다고 또는 빠르다고 다 좋은 건 아닐 수 있습니다. 많음과 빠름에도 봉우리가 있을 수 있어서입니다. 즉 양과 속도가 최적 정점을 넘게 될 경우, 탈이 나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많을수록 더 좋다’라는 말은, 절제의 브레이크가 파열될 경우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라는 말을 낳을 수 있다는 겁니다.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되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명확한 시간제약성이 필요한 사업이라 할지라도,  신뢰성 있는 제3자의 예비타당성 조사는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최소한의 절대 평가 기준에 미달되어 경제성이 부족한 사업들을 무리 하게 추진하면, 국민모두를 설득시킬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이윤수, “끝나지 않은 딜레마: 영남권 신공항 선정 갈등”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