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일반

중,고교생의 경제,금융수업 강화 시급 - 비합리적 소비,투자행태 개선 효과 높아

 

 

 미국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미국에서 일고 있는 중고생들의 경제, 금융교육 강화를 둘러싼 논쟁과 관련하여, 블룸버그의 칼럼니스트 Nikhil Hutheesing은 10월 기고를 통해 조기경제교육과 경제주체의 태도변화는 무관하다며,  굳이 경제교육을 늘리려면 그 시점은  고교 졸업 후가 적합하다고 주장하였다. 

 

미국에서의 경제수업 강화가 이슈화된 이면에는 미국 금융위기가 소비자들의 소비,투자 의사결정이 합리성이라는  경제 덕목에서 이탈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Hutheesing은 경제교육강화의 반론으로 인간의 의지의 나약성을 언급한다. 그는  사람의  좋은 의도는 실제 행동으로 당장 연결되지 않고, 마음속의 줄다리기가 벌어진다고 한다. 두뇌의 한쪽에서는 바람직한 행동을 하라고 말하지만, 또 한쪽에서는 즉각적인 만족에 탐닉하라고 부추긴다는 것이다. 그 결과 유쾌하지 않은 활동에  인내심이 요구되어, 결국  선한 의도는 미뤄진다고 주장한다.

 

또한   학생들이  강화된 경제, 금융수업으로 일찍 경제금융 문맹에서 벗어난다고 하여도,  실제 그들이 사회에 발을 디딜 즈음에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따라 교육효과가 소멸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위의 주장에 반대되는 실증연구가 나오고 있다. 경제교육의 목표는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결정과 합리적 투자 의사결정 방법을 습득하는데 있다.  그 반대 연구들은 경제지식이 높아진다면 비합리적인 소비행태를 적절히 통제 할 수 있다는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이다.

 

<고등학생의 경제이해정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김민주의 연구에 의하면 경제이해도와 소비 행태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실증분석하였다.

 

여기서 합리적 소비는 구매할 물건에  대하여 예산을 세우고, 구매상품 리스트를 만들고 구매후 결정을 돌아보는 과정으로 본다.

 

비합리적 소비는 충동소비, 과시소비를 들 수 있다.  우선 충동소비는 편승효과와 관련되어 있다.  다른 소비자들이 어떤 상품을 많이 소비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덩달아 그 상품을 소비하는 것이다. 미국의 과거 서부개척 시절에 남들이 서부로 가니 나도 따라간다는 밴드왜건효과를 일컫는다. 개인의 소비가 다른 소비자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타인의 소비에 좌우되는 것이다.

 

베블렌효과는 소비자들이 돋보이고 싶어서 과시소비하는 경우다. 강남의 한 상점에서 옷이 팔리지 않자, 가격표에 ‘0’을 하나 더 붙였더니 그 옷이 팔렸다는 일화가 과시효과이다. 가격이 높아질수록 많이 팔리는, 수요의 법칙에 역행하는 소비행태이다.

 

이 연구는 피어슨상관분석으로  기초경제개념과 소비행태간의 상관관계, 미시경제와 소비행태간의 상관관계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기초경제개념은 합리적소비와  정적인 상관관계 .211를,  과시소비와는   -.200의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초경제개념을 습득하게 되면 합리적으로 소비하게 되고, 과시소비는 줄어든다는 연구보고이다.

 

미시경제학과  소비 행태간에는 더욱 두드러지는 상관관계를 보인다. 합리적소비는 .216 과시소비는 -.226을 보였다. 이는  미시경제가 소비자의 최적 의사결정을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위의 연구 결과는 경제금융 교육 강화가 소비자들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긍정적 효과를 보인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실증분석이다.

 

물론 고교 시절의 학습이 성인이 되었을 때 그 효과가 지속될지는 앞으로의  종단적 연구과제라고 이 연구는 언급했다.

 

다른 경제교육 관련 연구들에 의하면,  고교경제교육의  효과의 지속성이 기타변수들에 의해 다소 희석화 될 가능성은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고교시절의 경제수업은 거의 국민 95%가 받게 되는 교육이므로, 성인 일부 극소수의  필요에 의한 선택적인 교육에 비해 국가전체의 효과 면에서 탁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들은 고교 경제교육를 넓고 심도있게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대입 수학능력시험에서 수험생은 사회과목 9과목 중 두 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현재 수험생들의 대개가 지리, 사회문화등 암기과목을 선택하여, 경제학 과목 응시자 비율이 2013년도 입시에서 약11%에 불과하였다. 

 

 이 연구들에 의하면  경제교육 강화 대안으로 수능에서 한국사처럼 경제학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그래야 심도있는 학습의 동기유인이 되는 것이다.

 

미국에서의 경제,금융 문맹 퇴치  논쟁은 우리나라에서 더욱 더 악화되어 가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를 떠올리게 한다. 미국이 테이퍼링을 통한 출구전략을 실시하게 된다면, 한국의 금리가 올라 갈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차입자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국의 교육 핫이슈를 우리나라도 정책적으로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한이 있더라도, 합리적 소비자와 투자자를 길러낸다는 경제교육의  강화는  이제 가계 부채 위기와 맞물려 시급성을 요하고 있다. 비합리적 소비와 투자로 인한 국가적 손실을 만회 할 수 있는 질적 정책인 경제교육은  당장의 계량적 정책보다 더욱 효율적인 수단임에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