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21세기에 생존하기 위해서는 경제성뿐 만아니라 환경과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일반화 되어 가는 가운데, 이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규정을 법률에 명시하자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실제로 동아시아연구원이 진행한 RADAR 201326개국 국제 CSR인식조사 에서 ‘정부가 CSR 촉진하는 법을 제정해야한다는 여론이 2008년 44%에서 2013년 84%로 치솟았다. CSR을 기업의 자발적 책임으로 인식하기보다 정부규제를 통해서라도 확산시켜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CSR의 법제화 관련한 논쟁과 입법을 동경대학교 정치·법학 연구소 객원연구원인 하영태박사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CSR 법제화 논쟁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논쟁은 ‘할 것인가’의 여부를 떠나, 기업이 어떠한 방식으로 할 것인가로 요약된다. 즉 CSR을 기업의 자율적 책임으로 기업에 맡길 것인가, 아니면 법적책임으로 둘 것인가의 문제이다.자율적 책임 논자들은 CSR은 기업의 윤리적 도덕적 책임이므로 기업이 자발적으로 이를 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사회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노력을 기업이 자발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
due 1) expected to happen or arrive at a particular time: 예정인 (be+due의 형태) ① His new book, which was written last year, is due to be published next year.② She is pregnant and the baby is due in April this year, if no problem. ③ The librarian told me that the books are due tomorrow. 2) owed to someone either as a debt or because they have a right to it: 마땅한, 귀속하는 ① Give credit where credit is due. Tom's help was indispensable, too.② Any money due you will be sent by cheque through the post. 3) if an amount of money is due, it must be paid at a particular time: 만기의 ① The next income tax pa
#성수동 공장에서 가방을 제조 판매하는 (주)루이는 강남에도 가방을 판매하기 위해 양재동에 가방 매장을 열었다. 사업장이 두 곳으로 늘어난 (주)루이는 부가가치세를 성수동공장과 양재동매장에서 각각 납부해야한다. (주)루이의 김대표는 부가가치세로 인한 자금압박을 덜기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자료) 성수동공장에서 가방 원재료인 악어가죽 매입액은 300억 원이며, 매출액은 100억 원이다. 또한 양재동매장으로의 가방 반출액은 150억 원이다. 양재동 매장은 성수동공장으로부터의 가방 반입액이 150억 원이며, 매출액은 300억 원이다.▲사업장별 신고·납부 = 위의 질문에서 성수동공장과 양재동매장에서 각각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해야 한다.부가가치세는 각 사업장마다 신고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다. 소득에 과세하는 소득세는 납세자별로 소득을 신고 납부하지만, 공급에 대해 과세하는 부가가치세는 공급(거래)이 행해지는 사업장별로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하게 된다.▲사업장의 범위 = 위의 질문에서 양재동매장에서도 부가가치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부가가치세법에서 규정하는 사업장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위의 예처럼 자기의 사업과 관련
“엄마 아빠 죄송해요. 그 아이가 같이 게임을 키우자며 협박을 하더라고요. 게임에 쓴다고 제 통장의 돈까지 가져갔고, 담배도 피우게 하고 오만 심부름과 숙제를 시켰어요. ...... 피아노 의자에 엎드리게 한 뒤 손을 묶어놓고 무차별적으로 저를 구타했어요.”중학교 2학년의 꽃다운 아이가 학교폭력의 희생자가 되어 너무나도 짧은 삶을 끝내고, 생의 마지막 글을 이처럼 남겼다.신체폭력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죽음으로 이 괴물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려 했을까? 노예처럼 명령에 무조건 따라야하는 셔틀에 영혼은 얼마나 멍이 들었을까?매점에서 빵을 대신 사다 주는 빵셔틀, 담배를 사다 주는 담배셔틀, 숙제를 대신 해주는 숙제셔틀에서 스마트폰 테더링 셔틀, 친구 스타킹에 구멍이 났을 때 자신의 스타킹을 벗어주는 스타킹셔틀까지... 한 인간을 굴욕의 낭떠러지로 내던지는 이러한 야만의 폭력 앞에 우리 아이들이 망가지고 마음에 피를 흘리고 있다.괴물이 된 가해자 학생들의 약자들에 대한 이러한 폭력은 자신들이 살아남기 위한 생존의 방식이었다. 강자가 약자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강자가 존재감을 인정받고 생존을 유지한다. 폭력의 그룹에는 협동과 질서가 유지되고 그들의 그룹 밖의 소수를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ty)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업들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회공헌 지출총액이 2011년 3조 1,240억원에 달했다.기업당 사회공헌지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2002~2005년 까지 1개 기업당 평균 50억원대 지출을 했지만, 2008년도에는 100억원을 넘어섰으며 2011년에는 140억 수준까지 상승했다.이처럼 기업들의 자선행위는 증가하지만, 대기업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인식은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 동아시아연구원의 RADAR 2013의 기관신뢰도 평가에서 UN, NGO의 신뢰도는 각각 79%, 76%를 기록한 반면, 대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38%에 그쳤다. 이는 2012년의 44%에 비해 6%포인트 하락한 결과이다.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CSR의 핵심 가치에 대한 자연스러운 의문이 제기된다. CSR의 이론들을 살펴보고, 최상층에 위치하여야 할 CSR의 본령을 파악해본다.◆ CSR의 이론CSR의 이론은 주주중심주의이론(shareholder theory), 이해관계자이론(stakeholder theory), 그리고 사회적 투자이론으로 요약된다.◇ 주주 중
기업의 최고의 목표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담보 받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재무적 관점의 이윤극대화를 뛰어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강조되고 있다.이와 관련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26000을 2010년에 발표하였다. 이는 산업계, 정부, 노동계, NGO등의 경제주체를 대상으로 지배구조,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거래, 소비자이슈, 공동체참여 및 개발 등 7대의제를 사회적 책임이슈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실행지침과 권고사항을 담고 있다.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회봉사활동이나 기부활동으로 국한 되지 않는다. CSR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의 필수요소로서, 사회의 기업에 대한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그리고 재량적 기대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 ◆ CSR의 발자취경희대 장영철교수에 따르면, CSR의 원형은 18세기 감리교 창시자인 Wesley가 설교에서 제시한 사회책임투자에서 발견된다. 그는 “우리의 고귀한 생명이나 건강 혹은 정신을 해치는 방법을 통해 돈을 얻어서
charge-2 여기서는 동사의 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to ask someone for a particular amount of money for something you are selling: 청구하다, 부담하다 ① The library will charge special fee for some books from foreign countries. ② The hotels in tourist areas were charging too high prices for rooms. 2) to state officially that someone may be guilty of a crime: 기소하다 ① He was arrested at the spot and charged with murder of two girls. ② After charged with bank robbery, they were sentence to ten years prison. 3) to say publicly that you think someone has done something wrong: 비난하다 ① Demonstrators have charged that th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를 시행하여, 202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상배출 전망치(Business as Usual : BAU)의 30%로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탄소배출권제도는 기업 간 기술격차 등으로 인해, 저감 비용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각 기업은 이 제도를 통해 상호이익을 누릴 수 있고, 최소비용으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하지만 이 제도와 관련, 우수한 효율성에 비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불공평성은 주로 배출권의 무상할당으로 비롯되고 있다.또한 유상할당의 경우는 대외경쟁력하락과 탄소누출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정책입안자들의 정책선택의 딜레마를 초래할 수 있다.탄소배출권과 관련하여, 배출권 할당의 두 가지 방안인 무상할당과 경매방식의 유상할당의 문제점을 정리해보고 이에 대한 해법을 모색해본다.◆ 무상할당한림대학교 윤효영교수는 무상할당으로 비롯된 형평성문제를 기업과 소비자간의 형평성, 기업 간의 형평성, 저소득층에 대한 형평성등으로 구분한다.△ 기업과 소비자간의 형평성 문제 배출권의 무상할당은 대기오염에 대하여 일반 공중에게 배상을 해야 하는 기업들이 오히려
charge-1charge 역시 다양하게 사용하는 어휘인데, 우선 명사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the amount of money you have to pay for goods or services: 요금, 대금 ① They may charge fees for special certificates, credit transfer or other services. 2) the position of having control or responsibility for a group of people or an activity: 책임, 책임자 ① But they still thought their husbands should be the main person in charge. 3) an official statement made by the police saying that they believe someone may be guilty of a crime: 혐의 ③ Two high-school principals in Seoul were arrested on charges of taking bribes. 4) a written or spoken stat
영화의 시작은 긴장된 표정의 군인들이 전투지역으로 이동하는 차 안에서 군가를 부르고 있다. 죽음의 공포를 떨쳐버리려는 듯 군가를 부르고 있다. “It could be tomorrow, or it coule be today/When the sky takes the soul/ the earth takes the clay.”혹시 영화관을 잘 못 찾은 건 아닐까? 활기와 유머 넘치는 러브 로맨스 뮤지컬의 공식을 상상한 탓에, 이처럼 어둠과 두려움이 드리워진 전쟁영화의 장면과 로맨스뮤지컬의 사이에 쉽사리 연결핀을 놓지 못했다.하지만 이 프롤로그는 이 영화의 백미이며, 플롯의 전개를 암시하는 압축된 표현이다. 그래서 이 도입부는 낯설지만 신선하다.◆ 살아있는 생생한 러브스토리데이비와 알리는 아프가니스탄의 죽음의 전장에서 무사히 고향 에든버러로 돌아와 빛나고 활기찬 에든버러 거리를 걷는다. 알리는 데이비의 여동생 리즈와 결혼하여 안정된 관계를 맺고자 한다. 데이비는 간호사 리즈의 소개로 잉글랜드 출신 동료 이본과 사랑에 빠진다. 데이비의 부모는 25년의 결혼생활에도 여전히 서로를 믿고 사랑한다.하지만 이러한 관계들은 데이비의 부모의 25주년 파티에서 금이 가기 시작한다.
탄소배출권거래제도는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지구온난화란 온실가스의 대기 중 농도증가로 인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량은 산업화 이전인 1750년 280ppm에서 2005년에는 379ppm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인 기상이변을 일으키며 그 경제적 피해가 2100까지 세계GDP의 5~20%에 달할것으로 보고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등 온실가스를 인위적으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후변화는 농업, 산림, 생물종의 손실등 인간에게 불리한 효과를 가져온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국제사회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온실가스의 대기 중 방출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교토 유연성 메커니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는 1997년 3월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합의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에 의해 마련되었다. 교토의정서는 감축의무 이행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유연성 메커니즘으로도 불린다. 유연성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하여, 국제 배출권 거래제도(ET),
14일 최경환 기획재정부장관과 윤성규 환경부장관의 비공개 회동에서 내년 1월1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배출권거래제와 관련, 찬반 논란이 뜨겁게 벌어지고 있다.환경부 관계자에 의하면, 배출권거래제는 내년에 시행하지만 업계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출권 총량을 더 늘리거나 배출권한도를 초과할 경우 부과하는 과징금을 낮춰주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입법 예고된 초과배출과징금은 초과배출 CO₂톤당 100만원 범위에서 평균 배출권 가격의 5배 이내이다.하지만 일각에서는 가격경쟁력의 악화, 배출권 거래 가격의 변동성, 투기자본의 횡횡등, 도입에 대한 시각차이로 배출권 제도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배출권 거래제와 관련한 개념, 논쟁 등을 살펴본다.◆ 배출권 거래제도의 출발배출권 거래제도 (emission trading)는 개별 오염원에게 일정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 주고, 이들 권리를 사고 팔 수 있는 시장을 개설해 줌으로써 시장기능에 의해 자원의 최적배분을 이루고자하는 제도이다.오염물질의 배출감축비용이 낮은 업체는 배출량을 더 감축하여 얻은 배출권을 상대적으로 배출감축비용이 높은 업체에 판매하여 이익을 얻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