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영화

[제13회 서울 국제 사랑 영화제] 보호받고 위로해주는 세상을 꿈꾸며 : <드롭박스>를 시작으로 15일까지 열려

눈물을 닦아주는 이는 기댈 수 있는 나무와 같다. 그를 통해 호흡하고 힘을 얻고 삶에 대한 믿음을 부여잡는다. 고단과 슬픔에 가위 눌릴 때, 그가 눈동자처럼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에 위로가 된다. 그렇게 우리는 위로를 돛 삼아, 두려움의 파도를 해쳐나간다. 
 
제 13회 “서울국제사랑영화제”가 위로를 주제로 하여, 10일 이화여자대학교 ECC 삼성 홀에서 <드롭박스>상영으로 개막하였다. 




기댈 곳 없는 이들을 상징하는 작은 새를 여러 사람이 어깨동무하며 겹겹이 둘러싸고 있는 영화제 포스터는 “서울국제사랑영화제”가 보호받고 위로해주는 세상을 꿈꾸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영화제는 ‘아카페초이스’, ‘미션 초이스’, ‘스페셜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국제단편경쟁으로 접수된 400여 편의 단편들 중 예심을 통과한 20여 편의 작품들이 소개된다. 

‘아카페초이스’는 위로와 공감의 시선을 담고 있는 영화들을 포함하였다. 프랑스에서 이방인 삶을 살아가는 엄마가 딸들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인 <파티마>, 절망의 유혹에 대한 반의식적 저항을 성경적 코드로 그린 <더 퍼스트, 더 라스트>, 불량청소년들이 다니는 대안학교의 일상을 담은 올해 선댄스 영화제 미국 다큐멘터리 베리테 부문 심사위원 수상작 <배드 키즈>등이 아가페초이스에 이름을 올렸다.

복음의 비전을 담은 영화들로 구성된 ‘미션초이스’엔 무료진료기관 복음병원을 개원하여 가난한 이들의 건강과 영혼을 돌 본 장기려 박사를 그린 <끝나지 않은 사랑의 기적, 장기려>가 눈길을 끈다.  환경적 한계를 극복한 영화들인 스포츠 영화 <우드론>, 실화 스릴러물인 <캡티브>도 ‘미션초이스’에 초대되었다. 

스페셜섹션인 ‘오디세이’는 안식처 본향을 잃어버린 현대인들의 귀향에 대한 갈망을 다루었다. 

‘스페셜 1 어반-오디세이’에선 소외되고 경쟁에서 이탈한 이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보내는 에릭 쿠의 영화들이 상영된다. 옴니버스 영화인 <내 곁에 있어 줘>, 칸 영화제 국제 비평가 상을 수상한 <12층>등을 관람할 수 있다. 

‘스페셜2 휴먼-오디세이’는 자신의 나라를 떠나 살아가는 난민의 실상을 조명한다. 폴란드 정치망명가 아담 윙클리의 일대기를 그린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매직 마운틴>, 난민 내부 시선을 통해 난민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점프>등을 만날 수 있다. 

프로그램 특별 행사로 씨네토크 및 GV가 영화의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룰 예정이다. <우드론>, <파티마>, <끝나지 않은 사랑의 기적, 장기려>, <점프>, <더퍼스트 더 라스트>등의 씨네토크와 <드롭박스> <동주> GV가 개최된다.   

영화들은 <미라클 프롬 헤븐>을 폐막작으로 15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후문 근처에 위치한 「필름포럼」에서 상영된다.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