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영화의 이해

[영화이야기] 숏의 종류 - 가까이 찍기, 멀리 찍기

관객들은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를 두고, 피사체와 배경과의 관계를 통해 영상이 주고자하는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영화에서는 이 효과가 숏을 통해 구현된다.  

숏은 카메라가 단절되지 않고 단 한 번에 찍혀지는 영상을 말한다. 감독이 ‘액션’하고 외친 후, 카메라가 돌아가고, 이후 감독이 ‘컷’하고 말할 경우, 액션과 컷 사이에 찍힌 영상이 숏이다. 이는  ‘테이크’라 불리기도 한다. 

숏에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익스트림 클로즈업 숏, 클로즈업 숏,  미디엄 숏, 풀 쇼트, 롱 숏(딥 포커스), 익스트림 롱 숏등으로 구분된다. 혹은 프레임 안에 포함된 소재의 양에 따라 숏을 구분하기도 한다. 

하나의 숏에 의해 포착되는 범위가 넓어지면 배경이 중심이 되며, 반대이면 인물의 심리묘사에 집중하게 된다.  


△익스트림 클로즈업, 클로즈업=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여 얼굴이나  사물들을 화면 가득히 찍는 숏이다. 

익스트림 클로즈업은 얼굴의 일부, 즉 눈이나 입을 보여주는 것이며, 클로즈업은 얼굴이나 얼굴이외의 다른 부분 혹은 물체를 포착한다. 

이 방식은 등장 인물의 심리상태나 생각등을 표현할 때 주로 이용된다.  물체에 클로즈업하게 되면, 이 물체가 앞으로 전개될  내러티브의 중심이 될 것임을 암시하게 된다. 또는 물체나 사람에 클로즈업하여 긴장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테면, 칼을 집어 드는 손을 클로즈업하여 서스펜스를 가져온다. 


△미디엄 클로즈업= 
사람의 신체를  가슴, 어깨높이 등에서 클로즈업하는 방식이다. 등장인물은 주로 프레임의 전경에 위치한다. 


△미디엄숏=
사람의 허리, 무릎 위를 찍은 숏을 말한다. 클로즈업 숏과 롱 숏 사이의 중거리 촬영을 말한다.  두 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커플 쇼트로, 드라마의 대화 장면등에 주로 이용된다.  

미디엄숏으로 로맨틱한 분위기들을 연출할 수 있어, 로맨틱 코미디· 버디 영화 등에 널리 사용된다. 


△롱숏 
피사체가 카메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숏이다. 연극을 기준으로 하면, 관객과 무대사이의 거리가 롱숏에 해당된다. 인물 전체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주변까지 포착하게 된다. 

이 숏은 특별한 심리적 효과는 없고, 일반적인 이야기 전개에서 사용된다. 

롱숏에는 딥 포커스 숏이 포함된다. 이는 광각렌즈를 이용하여, 전경뿐만 아니라 후경까지에도 초점이 맞아 모두를 선명하게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관객들은 화면의 한 부분에 대한 관심보다 모든 대상들을 관찰할 수 있다. 관객의 시선은 가까운 거리에서 중간거리, 그리고 먼 거리 순으로 옮겨 간다. 

이 경우 화면에 담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주로 롱 테이크가 사용된다.  하지만 전 공간을 포착하게 되어, 조명에 많은 비용이 든다.  


△풀숏 
롱숏의 범주에 속한다. 머리가 프레임의 거의 꼭대기에, 발은 프레임 바닥 부분에 닿을 정도로, 몸 전체가 프레임에 들어간다. 


△익스트림 롱 숏
피사체가 광활한 배경 속에  점처럼 보이는 숏으로, 먼 거리에서 촬영된다. 따라서 배경이 피사체만큼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서부영화, 전쟁영화등에 등장하는 숏이다.   

주로 시퀀스의 첫 부분에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숏이다. 심리와 관련, 인물이 고립되고 힘겨운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참고자료>
이형식, 영화의 이해 
허만욱, 영화의 이해와 탐색 
루이스자네티, 영화의 이해 
수잔 헤이웨드, 영화 사전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