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헤겔의 변증법② ] 부정의 부정의 법칙 - 진보를 승인한 것은 양적진보가 아니라 질적 비약을 기대

‘양보다 질’이란 말이 있다. 질이 중요하지 양은 부차적이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양을 간과할 수가 없다. 헤겔에 의하면, 질의 변화는 결국 양의 변화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헤겔은 “말꼬리에서 말총 한 오리를 뽑아내면 몽당꼬리로 될 수 있는가?”라고 묻는다. 그는 “대수롭지 않은 듯 한 이런 양적증감에도 한도가 있다. 이 한도에 이른 후에는 한 오리의 말총을 더 뽑으면 몽당꼬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라며 모든 사물의 질적 변화는 양적 변화로부터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물이 끓는 현상도 양질 전환으로 설명할 수 있다. 냄비에 물을 넣고 가열하면 온도가 상승한다. 물의 온도가 99도를 지나 100도가 되면 물은 끓기 시작한다. 물의 온도라는 양이 쌓여 비등점 100도를 넘자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질적 비약이  나타난 것이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도 그냥 되지 않는다. 그 분야에 최소 1만 시간의 투입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하루에 3시간씩 10년을 꾸준히 노력한 결과이다. 절대량이 쌓여야 새로운 단계로 과거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렇게 양이 쌓이면 새로운 질이 만들어지고, 변화된 질은 다시 양의 축적을 자극한다. 효율성이 증가하여  동일한 시간을 투자해도 양은 이전보다 증가한다. 이처럼 양이 질을 자극하고, 질이 다시 양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착실하게 한 걸음 한 걸음 전진하여 양을 축적하면 필연적으로 질은 변화된다는 것이다. 

결국  중도에 가는 길을 멈추고 쉽게 보이는 옆 길로 방향을 틀면, 소량의 변화만 나타날 뿐 근본적인 질적 변화는 얻지 못할 수 있다. 기초를 쌓는 과정을 게을리 하면, 기초가 부실해져 올라간 건물이 무너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개량과 비약

양이 쌓여 질이 변한다는데 있어, 進步는 개량(改良)과 비약(飛躍)으로 나눌 수 있다.  

조금씩 변하지만 현상유지에 안주하여 근본적인 변화를 기대하지 않는 改良과  결과에 대한 위험이 있지만 근본적 해결을 바라는 飛躍으로, 진보를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에누리 없는 개량주의’라 비판받는다.  

이유는 진보지지자들이 진보를 승인한 것은 양적진보가 아니라 질적 비약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점진적인 양적 개량은 비약을 무한히 미래의 일로 미루게 된다. 그 결과 현상만 변화될 뿐 조금도 사물의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  

이처럼 질적인 비약을 무시한 양적 개량주의는 ‘속 없는 찐빵’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 부정의 부정의 법칙
 
개량 아닌 비약은 독불장군처럼 자신만의 의지인 염원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물의 발전과 비약은 자기부정에 의존한다. 즉 새로운 질은 낡은 질의 부정으로부터 비롯된다. 
여기서 자기부정은 외부적 부정과 구분된다.  글씨를 지우거나 밀을 빻는 등은 외부적 부정이다. 자기부정은 외부에서 사물에 강요하는 부정이 아니라, 사물내부의 운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정을 말한다. 

즉 부정이란 낡은 사물가운데 있는 진부한 것을 포기하고, 긍정적인 요소를 충실히 하며, 전에 없던 새로운 내용을 보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부정의 개념으로부터, 헤겔은 ‘부정의 부정의 법칙’을 언급한다. 

그는 “꽃봉오리가 활짝 피어나면 그것은 반드시 소멸되기 마련이고, 그 봉우리는 새로 피어나는 꽃에 의해 부정된다. 이러한 꽃은 그 자신이 만들어내는 열매에 의해 부정된다. 마침내 그 열매는 꽃봉오리를 대신하여 식물의 진리로 등장한다.”라며 부정의 부정을 통해 사물은 한층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한다고 강조한다. 이는 보다 높은 비약(지양)이다. 

꽃의 희생에 의해서만 열매는 열리는 것이다. 씨앗이 썩어야 싹이 트게 되고, 싹이 부정되어 열매를 맺게 된다. 

이처럼 부정의 부정은 단지 처음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일단 진부한 것(正)이 다른 형태(反)로 부정되고, 다른 형태가 다시 부정되어 원래의 형태(合)로 되돌아가지만, 이 合은 거대한 진보로 귀착된다.   

부정의 부정은 이처럼 나선형적 발전이다. 이는 이전의 것을 반복하지만, 이전보다 훨씬 더 발전된 상태에서의 반복을 말한다. 

“한 알의 밀알이 .... 땅에 떨어져 썩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과 대표성 휴리스틱 ] 잘생겼으니 배우일 거야? 우리가 빠지는 확률 뒤집기 오류 #1. 인사담당자는 “신입사원 지원자 중 김씨는 스펙이 월등하네, 성과가 높은 사원들 중 고스펙비율이 높지. 따라서 스펙좋은 김씨는 업무성과도 좋을 거야. 그래서 이사람을 사원으로 뽑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김씨의 입사후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2. 사람들은 “박씨는 조용하고 사고가 논리적이며, AI지식도 해박하다. 그래서 그는 분명 IT 종사자일 거야.”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박씨는 요식업 종사자였습니다. 단지 어릴 때부터 기계에 관심이 많았을 뿐입니다. 위 두 사례는 일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판단 오류입니다. 오류의 원인은 대상의 겉모습, 곧 전형성만 보고 사람의 정체를 추측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 사람은 키도 크고 정말 잘생겼으니 그의 직업은 아마도 배우일거야. 왜냐면, 배우는 대부분 키 크고 잘 생겼으니까’등의 대화가 전형성에 기반한 판단 오류입니다. ◆ 겉모습으로 판단할 때 나타나는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 이들이 범한 오류는 무엇일까요? 바로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입니다. 사람들은 ‘특정 집단(A) 중 B의 속성을 가질 확률’을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