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외국어

[ Pop & English ] [ 희망과 공동체① ] < Over The Rainbow > sung by Judy Garland

Somewhere over the rainbow, way up high
There's a land that I've heard of once in a lullaby
저기, 저 무지개 너머, 저기 높은 곳에
제가 어릴 적 들었던 자장가 속의 나라가 있어요.


Somewhere over the rainbow, skies are blue
And the dreams that you dare to dream,
Really do come true.
저기, 저 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하늘은 파랗고,
당신이 감히 상상하는 꿈들이
정말 현실이 되지요.


Someday I'll wish upon a star
And wake up where the clouds are far behind me
Where troubles melt like lemon drops
Way above the chimney tops
That's where you'll find me
언젠가 전 저 별님에게 소원을 빌 거에요.
그리고 구름들이 저 밑으로 보이는 곳에서 잠을 깨겠지요. 
그곳엔 고통이 레몬사탕처럼 녹아내릴 거예요.
굴뚝 꼭대기 저 위에 있는
나를 찾을 수 있을 거에요


Somewhere over the rainbow, blue birds fly
Birds fly over the rainbow
Why then, oh why can't I?

If happy little bluebirds fly beyond the rainbow
Why, oh why can't I?



Over The Rainbow by Judy Garland from Movieclips on Youtube
(https://youtu.be/PSZxmZmBfnU, 총 2:45초)


 <Over The Rainbow>는 미국 30년대 대공황기 시대를 그려낸 역사적인 노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음악 평론가 임진모는 ‘예술성과 시대성의 합이 위대함을 낳는다’며, 이 곡을 남녀의 통속적 사랑 이별 대신 시대의 아픔과 희망을 노래한 명곡으로 평가합니다.


이 노래를 부른 미국의 배우이자 가수인 주디 갈란드(Judy Garland)에 대한 대중의 평은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그는 아카데미 어워즈를 비롯한 다양한 권위있는 상을 수상했지만, ‘희망의 아이콘’대신 약물 중독, 4번의 이혼등 무절제한 사생활로 대중들의 비판의 대상이 된 것입니다.


영국출신 가수 빌리 브랙은  주디 갈란드에 대해 “솔직히 난 한번도 주디 갈란드의 팬인 적이 없다. 하지만 그녀가 영화에서 노래할 때 ’And the dreams that you dare to dream really do come true’라는 구절은 너무나 훌륭하다.”라고 말했습니다.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