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외국어

[ Pop & English ] < Me too > sung by Megan Trainor ; 극단적 나르시시즘은 자신과 주변을 파괴시켜

▶<Me too> sung by Megan Trainor


Ow!
Who's that sexy thang I see over there
That's me, standin' in the mirror
What's that icy thang hangin' round my neck?
That's gold, show me some respect
저기 저  매력적인 애는 누구니
어, 거울 속에 서 있는 나였네.
저기 내 목에 걸려있는  차가운 건 뭐니
바로 금이야. 내게 경의를 표해봐


I thank God every day
That I woke up feelin' this way
And I can't help lovin' myself
And I don't need nobody else nuh
난 매일 신께 감사드려
이런 기분으로 매일 눈을 뜨게 해주잖아
난 나를 너무 사랑하는 걸 멈출 수 없어
다른 누구도 필요하지 않아


If I was you
I'd wanna be me too
I'd wanna be me too
I'd wanna be me too
If I was you
I'd wanna be me too
I'd wanna be me too
I'd wanna be me too
내가 만약 너였다면
내가 되기를 원했을 거야
내가 되기를 원했을 거야
내가 되기를 원했을 거야
내가 너였다면
내가 되기를 원했을 거야
내가 되기를 원했을 거야
내가 되기를 원했을 거야


I walk in like a dime piece
I go straight to VIP
I never pay for my drinks
My entourage behind me
My life's a movie Tom Cruise
So bless me baby achoo
And even if they tried to
They can't do it like I do
난 빛을 내며 걸어가지
곧장 VIP룸으로 들어가지
난 내가 마신 술값을 내본 적 없어
내 뒤에는 내 수행원들이 따라와
내 삶은 마치 톰 크루즈의 영화 같지
그러니 날 축복해줘!
쟤네들아 아무리 발버둥 쳐봐도
내 발끝에는 미치지 못하지


Me too sung by Megan Trainor from MeganTrainorVEVO

https://youtu.be/RaveinO4_vs



우리는 자기애(自己愛,self-loving)가 충만한 사람을 가리켜 나르시스트(Narcisst)라고 칭합니다.


자기애는 고대 그리스의 한 미소년, 나르키소스(Narkissos)로부터 유래됩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그는 아름다운 용모 덕분에 수많은 젊은이들의 구애를 받았지만, 그 누구의 마음도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결국에는 목숨을 포기하는 구애자들이 생겨날 정도였습니다.


나르키소스에게 구애를 하던 이들 중 한 명이 복수의 여신인 네메시스(Nemesis)에게 ‘나르키소스도 똑같은 사랑의 아픔을 겪게 해 달라’고 빌었습니다.


복수의 여신은 이에 응답하였습니다. 헬리콘산에서 사냥을 하던 나르키소스는 물을 마시러 샘으로 갔다가 샘물 표면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결국 그 자리에서 탈진하여 죽게 됩니다.


이처럼 지나친  자기애를 나르시시즘이라고 합니다.  극단적인 자기애는 자신과 주변을 괴롭히고 파괴한다는 교훈을 이 이야기는 알려주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 '나르시시즘, ME. TOO' http://www.ondolnews.com/news/article.html?no=1073)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