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외국어

[ Pop & English ] '저는 사랑에 빠져본 적이 없죠' < I’ve never been in love before > sung by Chet Baker


▶<I’ve never been in love before> sung by Chet Baker


I’ve never been in love before
Now all at once it’s you
It’s you forever more
저는 사랑에 빠져본 적이 없죠
갑자기 당신을 사랑하네요
앞으로도 영원히 당신을 사랑할 거예요


I’ve never been in love before
I thought my heart was safe
I thought I knew the score
저는 사랑에 빠진 적이 없었어요
제 심장은 안전하다고 생각했죠
난 진실을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죠


But this is wine
that’s all too strange and strong
I’m full of foolish song
and my song must pour
하지만 이번엔 와인 같아요
너무 낯설고 강렬하죠
바보 같은 노래들이 제 안에 가득 차 올라와요
그리고 그 노래들이 쏟아져 나올게 분명해요


So please forgive this helpless haze I’m in
I’ve really never been in love before
그러니 지금 저의 이 손 쓸 수 없는 몽롱함을 이해해주세요
전 정말 사랑에 빠진 적이 없었거든요


<I’ve never been in love before> by Chet Baker from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nh2nEvsGUak




사랑에 빠진다는 것은 심장이 아프고 설레는 것, 하지만 낯설고 강렬한 와인을 마시는 것, 그리고 바보 같은 노래를 쏟아내는 것, 


진솔한 사랑의 감정을 느릿하고 몽롱한 음색으로 전달하는 쳇 베이커(Chet Baker, 1929-1988)는 수려한 외모, 감성적인 트럼펫 연주와 보컬로 외로움과 상실을 노래하였습니다. 그는 서정성을 표현한 쿨 재즈의 대표적 연주자입니다.


음악이 사람의 내면을 끌어내는 것이라면, 그의 서정적인 선율과 리듬은 쓸쓸함의 고백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창의적 음악은 헤로인 중독으로 인해 서서히 파괴되어 갑니다. 제임스 딘 같은 용모도 마약 중독으로 급격히 망가져 가면서, 그의 50대의 얼굴은 80대로 보일 정도였습니다.


마약을 위해 연주했다고 말할 정도로 자신을 파괴한 쳇 베이커는 달콤한 외로움을 남기고 비운의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