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5.8℃
- 맑음강릉 7.4℃
- 맑음서울 6.3℃
- 맑음대전 7.4℃
- 맑음대구 8.0℃
- 맑음울산 7.5℃
- 구름조금광주 8.5℃
- 맑음부산 9.8℃
- 구름많음고창 7.0℃
- 비제주 10.4℃
- 구름많음강화 3.3℃
- 맑음보은 5.7℃
- 구름많음금산 6.2℃
- 구름많음강진군 9.1℃
- 맑음경주시 7.7℃
- 맑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
[ 프레임 무감각 ] λ·γ·α가 설명하는 '공포 프레임 → 신뢰 소모 → 통치 효율성 하락' 작동원리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은 인간이 위협을 어떻게 부풀리고, 신뢰를 어떻게 소모하는지를 설명하는 감정의 이론입니다. 이 작동 원리를 규정하는 세가지 변수는 람다(λ), 감마(γ), 알파(α)입니다. 이 모델은 공포 프레임이 단기적으로 강력하지만, 궁극적으로 통치 효율성을 저해하는 구조적 역효과를 초래함을 보여줍니다. 우선 람다(λ)는 손실의 고통을 증폭시키고, 감마(γ)는 가능성을 왜곡해 공포를 현실처럼 만듭니다. 이 두 변수가 결합하면 사람은 실제보다 훨씬 과장된 위협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러나 알파(α)가 작동하면서 감정은 서서히 둔화되고, 공포의 효용은 점차 사라집니다. 프레임 무감각이 발생하는 겁니다. 이는 단순한 여론의 무감각을 넘어 통치 주체의 효율성을 근본적으로 하락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 람다(λ) : 손실고통의 증폭 람다(λ)는 전망이론의 핵심인 가치함수(Value Function) 안에서 손실의 고통을 증폭시키는 계수로 작용합니다. ① 가치 함수 (Value Function)의 수식 가치함수, V(x)는 객관적 가치(x)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 또는 고통을 의미합니다. 가치함수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x) =
-
[ 전망이론의 손실회피와 참조점 이동 ] 손실회피로 본 한미 관세 협상의 심리경제학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의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은 인간의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기대값 대신 심리적 가치에 의해 좌우됨을 보여줍니다. 이 이론의 핵심인 가치함수(Value Function)는 참조점(Reference Point, 0)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S자 형태를 띠며, 인간의 두 가지 주요 심리적 편향인 손실 회피와 민감도 체감(참조점 이동 효과)을 동시에 설명하고 있습니다. ◆ λ (람다): 손실회피 (Loss Aversion) ①λ (람다) 전망이론이 보여주는 핵심 변수는 람다(λ)입니다. 람다는 인간이 손실을 얼마나 두려워하는지를 나타내는 ‘손실회피 계수(Loss Aversion Coefficient)’입니다. 대니얼 카너먼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은 같은 크기의 이득보다 손실을 약 두 배 이상 크게 느낍니다. 즉 손실의 심리적 무게는 이득보다 평균 2.25배 더 큽니다(λ ≈ 2.25). 예를 들어 공정하거나 유리한 베팅 기회라도 이 제안을 거절하는 경향도 손실 회피와 관련 있습니다. 만약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10만 원을 얻고, 뒷면이 나오면 5만 원을 잃는다"는 베팅(기대값이 양수)을 제안받으면, 많은 사람이 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