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영화

영화<마미>리뷰 : 오늘도 아이는 ‘엄마’를 찾아 헤매고 있다

갓난 아이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환성을 지른다. 거울의 모습과 자신이 같다는 놀라움 때문이었다.  

이 아이는 또한 거울의 모습처럼 엄마를 자신과 동일한 존재로 오인한다. 그래서 아이와 엄마 사이에는 틈새가 없다.

엄마의 품에 안긴 아이는 엄마의 보살핌과 사랑으로  충만을 느낀다. 


그런데, 이 아이는 커 가면서 깨닫는다. 거울 앞의 모습이 허상이라는 사실을.  이를 아는 시점은 엄마와 아이 사이의 틈새를 발견하는 시점이다. 

이 틈새는 보통 다른 대상이 끼어들어 생긴다. 아이의 눈에 그 대상은 자신과 엄마 사이를 방해 놓는 훼방꾼이다.  

이 갈라진 틈은 혼돈이다.  엄마와의 동일로 인한 완벽한 세계가 깨지는 아픔이다. 동시에 이는 참을 수 없는 분노이다. 

이 분리의 상실이 커지면 광기로 변한다. 동일시로부터의  분리는 파괴이다. 


이 결핍은  새로운 결합의  욕망을 가져온다.  이 틈새를 메우기 위해 계속 다른 대상과 결합하려 한다. 이 빈자리를  인정, 돈, 권력, 학문, 성등이  채울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러한 화려한  대상들로부터 욕구가 충족되어도, 어느 무엇도 과거 아이와 엄마와의 상상의 합일로 인한 충만은 안겨주지 못한다.  그래서 욕망은 무한하게 되고 이 결핍은 지속적이다.  아이는 결핍의 찌끼를 안고 무한히 욕망한다. 

아이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찾아 배회하면서, 허구의 대상을 잡고자 한다.  하지만 이 허상에는 채워지지 않는 틈새와 구멍이 있다. 

그래서 오늘도 아이는 ‘엄마’를 찾아 울고 있다. 




영화 <마미>의 1:1의 정사각형 화면 비율은 이러한 아이 스티브의 혼돈과 욕망을 상징한다. 어둑하고 잿빛의 기운을 감싸는  정사각형 프레임에 끼인 듯한 인물들을 보노라면 숨이 멎는 듯하다. 

이 갇힌 프레임에서 탈출해야 한다는 욕구가 가슴을 짓누른다. 어떠한 섬뜩한 장면 때문이라기보다, 정사각형 프레임이 주는 압박 때문이다. 프레임이 공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 그런데, 이 정사각형의 비율이 스르르 직사각형의 화면 비율로 변한다. 숨통이 트인다.  그리고 화면은 빛과 활기를 띠게 된다. 어느 새 화면에서 향기가 난다. 사람들 간의  ‘함께’라는 향기이다. 

잠시 후 다시 닫힌 1:1 화면 비율로 돌아간다. 그리고 스티브의 광기가 흐른다. 아 숨 막혀,,,  결핍과 욕망이 스티브를 짓누른다. 

1989년생 자비에 돌란 감독은 말한다. “내가 그 어떤 곳보다 알고 싶은 단 한 가지, 나에게 무조건적으로 영감을 줄 수 있는 단 한 가지.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내가 사랑하는 단 한가지 만 존재한다면 그것은 당연히 나의 엄마일 것이다. .....엄마는 항상 내가 돌아가고 싶은 곳이다.”

★2014 칸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 
  138분, social sci-fi, 12월 18일 개봉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