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영화

영화<마미>리뷰 : 오늘도 아이는 ‘엄마’를 찾아 헤매고 있다

갓난 아이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환성을 지른다. 거울의 모습과 자신이 같다는 놀라움 때문이었다.  

이 아이는 또한 거울의 모습처럼 엄마를 자신과 동일한 존재로 오인한다. 그래서 아이와 엄마 사이에는 틈새가 없다.

엄마의 품에 안긴 아이는 엄마의 보살핌과 사랑으로  충만을 느낀다. 


그런데, 이 아이는 커 가면서 깨닫는다. 거울 앞의 모습이 허상이라는 사실을.  이를 아는 시점은 엄마와 아이 사이의 틈새를 발견하는 시점이다. 

이 틈새는 보통 다른 대상이 끼어들어 생긴다. 아이의 눈에 그 대상은 자신과 엄마 사이를 방해 놓는 훼방꾼이다.  

이 갈라진 틈은 혼돈이다.  엄마와의 동일로 인한 완벽한 세계가 깨지는 아픔이다. 동시에 이는 참을 수 없는 분노이다. 

이 분리의 상실이 커지면 광기로 변한다. 동일시로부터의  분리는 파괴이다. 


이 결핍은  새로운 결합의  욕망을 가져온다.  이 틈새를 메우기 위해 계속 다른 대상과 결합하려 한다. 이 빈자리를  인정, 돈, 권력, 학문, 성등이  채울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러한 화려한  대상들로부터 욕구가 충족되어도, 어느 무엇도 과거 아이와 엄마와의 상상의 합일로 인한 충만은 안겨주지 못한다.  그래서 욕망은 무한하게 되고 이 결핍은 지속적이다.  아이는 결핍의 찌끼를 안고 무한히 욕망한다. 

아이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찾아 배회하면서, 허구의 대상을 잡고자 한다.  하지만 이 허상에는 채워지지 않는 틈새와 구멍이 있다. 

그래서 오늘도 아이는 ‘엄마’를 찾아 울고 있다. 




영화 <마미>의 1:1의 정사각형 화면 비율은 이러한 아이 스티브의 혼돈과 욕망을 상징한다. 어둑하고 잿빛의 기운을 감싸는  정사각형 프레임에 끼인 듯한 인물들을 보노라면 숨이 멎는 듯하다. 

이 갇힌 프레임에서 탈출해야 한다는 욕구가 가슴을 짓누른다. 어떠한 섬뜩한 장면 때문이라기보다, 정사각형 프레임이 주는 압박 때문이다. 프레임이 공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 그런데, 이 정사각형의 비율이 스르르 직사각형의 화면 비율로 변한다. 숨통이 트인다.  그리고 화면은 빛과 활기를 띠게 된다. 어느 새 화면에서 향기가 난다. 사람들 간의  ‘함께’라는 향기이다. 

잠시 후 다시 닫힌 1:1 화면 비율로 돌아간다. 그리고 스티브의 광기가 흐른다. 아 숨 막혀,,,  결핍과 욕망이 스티브를 짓누른다. 

1989년생 자비에 돌란 감독은 말한다. “내가 그 어떤 곳보다 알고 싶은 단 한 가지, 나에게 무조건적으로 영감을 줄 수 있는 단 한 가지.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내가 사랑하는 단 한가지 만 존재한다면 그것은 당연히 나의 엄마일 것이다. .....엄마는 항상 내가 돌아가고 싶은 곳이다.”

★2014 칸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 
  138분, social sci-fi, 12월 18일 개봉





[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과 대표성 휴리스틱 ] 잘생겼으니 배우일 거야? 우리가 빠지는 확률 뒤집기 오류 #1. 인사담당자는 “신입사원 지원자 중 김씨는 스펙이 월등하네, 성과가 높은 사원들 중 고스펙비율이 높지. 따라서 스펙좋은 김씨는 업무성과도 좋을 거야. 그래서 이사람을 사원으로 뽑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김씨의 입사후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2. 사람들은 “박씨는 조용하고 사고가 논리적이며, AI지식도 해박하다. 그래서 그는 분명 IT 종사자일 거야.”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박씨는 요식업 종사자였습니다. 단지 어릴 때부터 기계에 관심이 많았을 뿐입니다. 위 두 사례는 일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판단 오류입니다. 오류의 원인은 대상의 겉모습, 곧 전형성만 보고 사람의 정체를 추측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 사람은 키도 크고 정말 잘생겼으니 그의 직업은 아마도 배우일거야. 왜냐면, 배우는 대부분 키 크고 잘 생겼으니까’등의 대화가 전형성에 기반한 판단 오류입니다. ◆ 겉모습으로 판단할 때 나타나는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 이들이 범한 오류는 무엇일까요? 바로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입니다. 사람들은 ‘특정 집단(A) 중 B의 속성을 가질 확률’을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