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시

사진계의 전설, 유진 스미스의 휴머니즘과 사랑

 

낙원이란 어떤 곳일까? 그곳에는 아름다운 초목이 무성하고, 나뭇가지에는 맛 좋은 과일이 달려있다. 맑은 물이 항상 샘 솟고, 온갖 동물과 새가 평화롭게 함께 산다. 고통과 부끄러움이 없는 곳이다.
 
사진계의 전설, 유진 스미스(William Eugene Smith)는 그의 대표작 <낙원으로의 길> ( The Walk to Paradise Garden)에서 동굴 같은 어둠에서 빛으로의 탈출로 낙원을 묘사한다.

 

보도사진잡지 ‘라이프’의  종군기자로 전장을 누비다, 포토에세이스트로 활약한 스미스는  두 아이가 어둠의  끝에서  빛의 세상으로 발을 내딛는 장면을 포착한다.  욕망과 불신에서 어린아이 같은 순수와 진실로, 어둠대신 빛으로, 부정을 극복하고 긍정으로,  즉 황야로부터 낙원으로의 길을  이 사진 한 컷에  응축시킨다.  유진 스미스에게 있어 낙원으로의 길은 곧 빛인 것이다. 

 

이 걸작은 그의 고통과 희망에 대한 사유의 산물이 아닌, 그의 실제 삶의 아픔으로부터 건져올린 정수이다. 1945년 5월 22일, 오키나와 전선에서 포탄파편에 부상한 스미스는 다시는 셔터를 누를 수 없을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싸우며 긴 재활치료에 들어간다. 그리고 치료 막바지에, 부상 후 찍은 첫 사진이 바로 <낙원으로의 길>이다.

 

스미스의 아들과 딸을 실제 모델로 한 이 작품에서 전쟁의 황폐함에서 낙원으로의 갈망과, 고통에서 희망으로의 역전을 가슴 깊이 체험 할 수 있다. 또한 이 사진은 1958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기획했던 전설적인 전시회, ‘인간가족’(Family of Man)의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다.

 

 

유진 스미스의 인간의 욕망에 대한 보고서의 에필로그라 평가받고 있는 작품이 <목욕탕 속의 우에마라 도모코>이다. 미나마타병에 걸려 눈과 귀가 멀어서 불구의 몸이 된 딸을 돌보는 여인의 사진은 마치 십자가에 매달려 죽은 예수의 몸을 무릎에 안고 슬퍼하는 광경을 표현한 피에타상을 연상하게한다.

 

미나마타는  질소비료회사의 공장에서 수은이 포함된 폐수를 흘려보내, 인근 주민들이 오염된 강의 어패류를 먹고 수은에 중독된 사건이 발생한 어촌마을이다. 인간들의 탐욕으로부터 비롯된 외부효과의 불경제의 비극을 유진스미스는 예술작품으로 묘사한 것이다. 이 작품을 통해   스미스의 인간에 대한 존중과 사랑 그리고 그의 휴머니즘을 엿볼 수 있다.

 

이외  <실 잣는 여인, 1950>, <과르디아 시민군,1950>,<분만을 돕는 모드 1951>, 슈바이처를 성자로 묘사하려는 편집부에 반발하여 ‘라이프’지를 떠나게 한 사진 <건축에 사용할 목재를 점검하고 있는 슈바이처,1954>, <dream街, 피츠버그 1955>, <유일한 생존자, 태평양전쟁 1944>등, 그의 작품들을 통해 영혼의 순결함, 앞날을 꿈꾸는 의지, 그리고 삶의 치열함을 배우게한다.

 

스미스의 작품들이 우리 영혼의 울림과 소통으로 다가오는 까닭은  그의 고백에서 찾을 수 있다. “ 나는 정이 많은 냉소주의자에 불과하다. 나는 아무것도 없는 사람들과 함께 내가 가진 목소리를 주고받고 싶다.”

 

유진 스미스의 <낙원으로의 길>은 세종문화회관 전시관 1층에서 11월25일 까지 열리고 있는 ‘라이프사진전’에서 만날 수 있다.




[ 캐리 트레이드와 UIP퍼즐] 캐리 트레이드와 UIP 퍼즐의 구분 고금리 통화는 이론상 미래에 약세가 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괴리에서 태어난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이고, 이 현상이 장기간 다양한 통화에서 반복된다면 이는 UIP 퍼즐입니다. ◆캐리 트레이드 현실에서는 UIP이론과 달리 고금리 통화가 예상만큼 약세를 보이지 않게 되면, 초과수익 기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입니다. ①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는 저금리 통화로 자금을 차입해 고금리 통화 자산에 투자하여 이자율 차이와 환율 변동에서 수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 다시말해 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은 금리차이 이익과 환차손의 합인데, 전자가 후자보다 클 경우 이 전략에서 수익이 발생하고, 반대일 경우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초과수익은 고금리 통화가 UIP이론만큼 약세가 되지 않는 현상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점에서 캐리트레이드는 환율변동의 예측에 실패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일종의 투기전략입니다. 캐리 트레이드의 실제 사례로 2000년대 초반~2008년 금융위기 전의 엔화-호주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꼽힙니다. 당시 일본 엔화(JPY)는 초저금리(0~0.5%)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