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외국어

[Pop & English] Poison의 " Something To Believe In "

“Something To Believe In”은 미국의 글램 메탈(헤어메탈, 팝 메탈)밴드인 ‘포이즌’의 1990년 앨범 < Flesh&Blood >에 수록된 파워 발라드 곡입니다. 

사회비판적인 가사에는 종교의 세속화, 전쟁이 낳은 트라우마, 빈부 격차등이 거친 표현들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현상과 사건들로 비롯된 상실감,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그리고 신과의 관계 단절등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Something To Believe In "by Poison 
https://www.youtube.com/watch?v=G5uamDMoW4o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Twenty-two years of mental tears
Cries a suicidal Vietnam vet
Who fought a losing war on a foreign shore
to find his country didn't want him back
22년간 마음 속 눈물을 흘렸지
스스로 삶을 끝내고 싶어 하는 베트남전 참전자들이 울부짖고 있어
외국의 해변에서 지는 싸움을 싸웠지만
그의 나라는 그가 돌아오기를 원치 않네.

Their bullets took his best friend in Saigon
그들의 총알들은 그의 절친한 친구들을 앗아 갔네

He cried “Forgive me for what I’ve done there
Cause I never meant the things I did.”
그는 울부짖으며 말했지. “내가 한 짓을 용서해주세요.
내가 거기서 했던 일들은 내가 원래 의도한 게 아닙니다.”
 

[Chorus]
And give me something to believe in
if there's a Lord above
and give me something to believe in Oh,
Lord arise
그러니 내게 믿고 의지 할 무언가를 주세요,
만약 저 높은 곳에 신이 있다면 말이죠. 
내게 믿고 의지할 무언가를 주세요.
오, 신이시여 일어나소서. 



포이즌(Poison)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상업적으로 성공한 LA메탈밴드입니다. 데프 레파드등과 더불어, 화려한 의상, 풀 메이크업, 꽃미남 스타일 그리고 대중적 멜로디등의 요소가 강조되는 글램 메탈의 주요  밴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포이즌의 대표 히트곡들에는 락 발라드 명곡인 “Every Rose Has Its Thorn”을 비롯하여 “Nothin’ But A good time”, “Fallen Angel”, 그리고 사회비판적인 요소가 담겨있는  “Something to believe in”등이 있습니다. 



“여호와여 어찌하여 나의 영혼을 버리시며 어찌하여 주의 얼굴을 내게서 숨기시나이까.”(시 88:14)

그저 착하게만 살아온 이들이 자신의 의도와 무관하게 외부의 강압에 의해 악을 범하거나, 또는 악인들에게 의해 고통에 빠질 때, 이들은 시편 기자처럼 절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으로부터 버림받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신은 선하고 공의롭다는 믿음에  의문을 품고, 신과의 관계 단절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상실의 외로움에 처한 이들이, 신은 인간의 생각을 뛰어넘으며, 인간과 함께 대화하며,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필요를 채워주며, 그리고 이 고통의 땅에서 새로운 소명과 의미를 다시 찾아주는 회복의 신이라는 인식을 깨달을 때, 관계단절의 외로움은 극복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