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외국어

[자존감① ] < Unwritten > sung by Natasha Bedingfield


I am unwritten, can't read my mind, I'm undefined
I'm just beginning, the pen's in my hand, ending unplanned
난 아직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아, 내 마음을 읽어 낼 수 없지, 난 아직  정의내려지지 않았어 
난 이제 막 시작이야, 펜은 내 손 안에 있어, 어떻게 끝날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어


Staring at the blank page before you
Open up the dirty window
Let the sun illuminate the words that you could not find
네 앞에 펼쳐진 빈 페이지를 봐
더러운 창문을 활짝 열고
햇살이 이제껏 네가 찾지 못했던 단어들을 비추도록 해봐


Reaching for something in the distance
So close you can almost taste it
저 멀리 있는 어떤 것에 닿을 거야
그래서 가까이 그걸 맛볼 수 있을 거야


Release your inhibitions
네가 참아 왔던 걸 꺼내 놓아 봐


Feel the rain on your skin
No one else can feel it for you
Only you can let it in
네 피부에 떨어지는 비를 느껴봐
어느 누구도 너를 대신해서 느껴 줄 수 없어
오직 너만이 그걸 느낄 수 있지 (받아들일 수 있지)


No one else, no one else
Can speak the words on your lips
다른  누구도, 어느 누구도
네 입에서 나올 말들을 대신 말해 줄 수 없어


Drench yourself in words unspoken
Live your life with arms wide open
Today is where your book begins
The rest is still unwritten
아직 말하지 않은 단어들에 너를 흠뻑 적셔봐
두 팔을 활짝 벌리고 너의 삶을 살아
오늘이 네 책을 쓰기 시작하는 날이야
나머지는 아직 쓰여지지 않았어


Oh, oh, oh


I break tradition, sometimes my tries, are outside the lines
We've been conditioned to not make mistakes, but I can't live that way
난 과거 익숙했던 관습을 부수려고 해, 가끔 나의 시도는 지금까지의 관행에서 벗어나지.
우린 실수하지 않도록 길들여져 왔지, 하지만 난 그렇게는 살 수 없어  



Unwritten by Natasha Bedingfield from Natasha Bedingfield on Youtube
(https://youtu.be/b7k0a5hYnSI, 총 3:46)





잉글랜드 출신의  싱어송 라이터, 나타샤 베딩필드(Natasha Bedingfield, 1981년~)는 2004년  데뷔 앨범 <Unwritten>의 230만장 이상의 빅히트로,  일약 팝・ R&B의 스타 뮤지션으로 도약합니다. 


앨범<Unwritten>의 수록곡인 ‘Unwritten’은 삶의 주체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자신의 피부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남이 대신 느낄 수 없듯이, 자신의 삶의 여정을 남이 대신 책임져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일깨워줍니다.


인생이란 게임을 계획하고 이끄는 주체는 운명이 아니라 바로 자신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 노래는 운명의 규칙을 통쾌하게 날려버립니다. 


                                                                                                        By 신수안기자


-

------------------
난  책을 쓰고 있습니다.
쓰여 있지 않은 여백을 하나씩 채우며,
나의 책을 써 내려 갑니다.


누구도  나에게 ‘너의 책은  이렇다’라고 섣불리 판단 내릴 수 없지요.

나의 책은 아직 미완성이기 때문입니다.


나의 책은 아마도 화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세상이  꿈꾸는 겉 가치를  따라가지 않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내 책은 소담스럽습니다.
 
나만의 의미를 향해
길을 잃지 않고 나아가고 있어서입니다. 

익숙함에 젖어왔던, 억눌린 습관의 창문을 열고,
저 멀리 있는 의미를 향해 팔을 펼쳐가기 때문입니다.


난 아직  책을 쓰고 있습니다.

여백이 채워질 때마다,

나의 책은 조금씩 매력을 더해 갈 겁니다. (계속: 자존감 ③)


                                                                                                                By 조성규기자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