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외국어

[토익,텝스 어휘] AUTHOTITY

 Authority

 

1) the power you have because of your official position:

공식적 지위 덕분에 누리는 힘이나 권력이라는 의미입니다. 주로 권위’, ‘권한이라고 해석됩니다.

 

A uniform impresses people and is seen as a symbol of authority.

제복은 사람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면서 권위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진다.

To that work I now turn, with all the authority of my office.

제게 부여된 모든 권위를 동원하여 그 일을 수행하겠습니다.

Sorry, but I don't have the authority to answer your question.

죄송하지만 저는 당신의 질문에 대답할 권한이 없습니다.

 

2) the people or organizations that are in charge of a particular country or area:

특정한 나라나 지역에서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들이나 기관들이라는 의미로서, ‘관계 당국’, ‘권력자등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주로 복수형으로 사용됩니다.

 

Financial authorities have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get involved in the exchange market.

금육당국은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할 것을 추천했다.

They were arrested by Iranian authorities for the claims they were dangerous.

그들이 위험한 사람들이라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서 그들은 이란 당국에 의해 체포되었다.

The book was banned by the authorities, because it was obscene

그 책은 외설적이었기 때문에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다.

 

3) official permission to do something: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공식적 허가라는 의미로서 허가’, ‘인가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The attack took place under the authority of the UN security council.

그 공격은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인가에 의해 행해졌다.

Nobody can enter the house without his authority.

그의 허락 없이는 그 누구도 그 집에 들어갈 수 없다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