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나눔

[세월호 희생자 5주기 ② ] 위로와 힘은 어디로부터 오나?

해마다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는 4월이 되면, 체한 듯이 가슴의 답답함을 느끼곤 합니다.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어떤 부부의 얼굴이 떠올라서입니다.


그 부부와의 조우는 2014년 4월 중순, 세월호 침몰 취재를 위해 며칠 머물렀던 진도실내체육관에서입니다.


L


 당시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은 진도실내체육관에서 한 줄기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아들 딸들의 무사귀환을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기자들은 2층 관중석 중 한 자리를 차지하고 쪽잠을 자며 취재를 하였는데, 기자도 2층 관중석 한 구석에서 기사를 쓰면서 가끔 몸을 눕히곤 하였습니다. 


한 부부도 기자가 머물렀던 곳 근처에서 시시각각 전해지는 구조 소식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같은 공간에서 함께 며칠 생활하다보니, 그 부부와 무언의 소통이 흐르고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실종자 구조가 장기로 접어드는 기미가 흐르자, 현장을 철수하고 서울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주섬주섬 짐을 챙기자, 부부는 불안이 그득한 눈으로 기자를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그 시선은 무언으로 말하고 있었습니다.  ‘가지 마요. 내 아이의 생사를 확인할 때까지 함께 있어 줘요.’라고요.


하지만 서울에서 제대로의 기사를 쓰겠다는 나름의 핑계로, 그들의 무언의 호소를 애써 외면하며 체육관 2층을 황급히 빠져나갔습니다.  


며칠 더 머물며 구조 소식을 좀 더 지켜보았어도 좋을 상황이었지만,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그곳에서 당장 도망가고 싶다는 마음이 그곳을 떠나도록 부추긴 것입니다. 


그 이후 진달래가 피는 시절이 돌아오면, 절망에 찬 눈으로 저를 바라보던 부부의 모습이 불현듯 떠오릅니다. 


배반하는 듯이 그들에게 등을 보인 행동으로 인해 죄책감이 엄습합니다.


그리고 비록 이야기를 한 번도 나눈 적도 없고 어떤 도움도 주지 못했지만, 고통의 자리에 함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위로와 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그 시선을 통해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세월호가 맹골수도에 침몰한지 5년이 되는 올해, 그저 그 부부가 자식을 잃은 고통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났으면 하는 바람뿐입니다. 그 기도가 저의 죄책감을 덜어내는 유일한 방법이겠지요.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