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일반

[ 경제 카르텔의 기초 ] 카르텔의 이윤극대화 생산량, 하버거의 삼각형

◆카르텔의 이윤극대화 생산량 결정



이윤극대화 생산량과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선, 주지하듯이,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일치해야 합니다. 

한계수입곡선은 수요곡선에서 도출됩니다. 그런데 카르텔기업의 수요곡선은   독점기업과 마찬가지로 산업전체의 수요곡선입니다. 이러한 시장전체의 수요곡선에 상응하여 한계수입곡선(MR)이 결정됩니다. 

카르텔의 한계비용곡선은 각 기업들의 한계비용곡선을 수평으로 더한 것이 됩니다. 

카르텔의 MR곡선과 MC곡선이 결정되었다면, 두 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생산량과 가격이 결정됩니다. 


종합적으로 카르텔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MR= MC1 = MC2

결국 카르텔을 형성한 기업들은 통상적으로 카르텔 전체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수준에서 생산량과 가격을 결정하고 이를 담합하는 기업들 간에 배분하게 됩니다. 또한 이 경우 P>MC이므로 과소생산이 이루어지고 효율성 상실이 발생합니다. 


◆ 하버거의 삼각형 (Harberer’s triangle)


P=MC가 성립되는 경쟁시장에서 생산량과 가격은, 각각 Qc와 Pc입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잉여는 (A+G+B+C)의 면적이며, 생산자 잉여는 (D+F+E)면적입니다. 

그런데 독점형태의 시장은 P>MC를 보입니다. 따라서 생산량과 가격은, 각각 Qm와 Pm으로 바뀝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잉여는 (A)의 면적이며, 생산자 잉여는 (G+B+D+F)면적입니다. 

결국 소비자잉여는 독점화되면서 (A+G+B+C)에서 (A)의 면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생산자 잉여도 감소하게 되는데, 생산량이 Qc에서 Qm으로 감소하여, 생산자잉여 (E)가 줄어들게 됩니다. 반면 생산자잉여는 소비자잉여였던 (G+B)를 흡수하게 됩니다. 

종합하면 경쟁시장체제가 독점시장체제로 바뀜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적 순손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비자 잉여의 변동은[-(G+B+C)]이며, 생산자 잉여의 변동은 [+(G+B)],[-(E)]입니다. 이들을  모두 합한 결과가 -(C+E), 즉 사회적 순손실입니다. 이 삼각형이 하버거의 삼각형 또는 自重손실(deadweight loss)이라 불립니다. 




[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과 대표성 휴리스틱 ] 잘생겼으니 배우일 거야? 우리가 빠지는 확률 뒤집기 오류 #1. 인사담당자는 “신입사원 지원자 중 김씨는 스펙이 월등하네, 성과가 높은 사원들 중 고스펙비율이 높지. 따라서 스펙좋은 김씨는 업무성과도 좋을 거야. 그래서 이사람을 사원으로 뽑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김씨의 입사후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2. 사람들은 “박씨는 조용하고 사고가 논리적이며, AI지식도 해박하다. 그래서 그는 분명 IT 종사자일 거야.”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박씨는 요식업 종사자였습니다. 단지 어릴 때부터 기계에 관심이 많았을 뿐입니다. 위 두 사례는 일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판단 오류입니다. 오류의 원인은 대상의 겉모습, 곧 전형성만 보고 사람의 정체를 추측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 사람은 키도 크고 정말 잘생겼으니 그의 직업은 아마도 배우일거야. 왜냐면, 배우는 대부분 키 크고 잘 생겼으니까’등의 대화가 전형성에 기반한 판단 오류입니다. ◆ 겉모습으로 판단할 때 나타나는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 이들이 범한 오류는 무엇일까요? 바로 ‘역의 혼동’(Confusion of the Inverse)입니다. 사람들은 ‘특정 집단(A) 중 B의 속성을 가질 확률’을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