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외국어

[토익 텝스 어휘] PROCESS

 process

 

명사와 동사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a series of things that happen naturally and result in gradual change:
‘자연적으로 일어나서 점진적인 변화로 귀결되는 일련의 일들’이라는 의미로, ‘과정’이라고 해석됩니다.

① The salts are the normal byproduct of their digestive process.
이 염분들은 그들의 소화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부산물이다.
② Reading is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독서는 작가와 독자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적 과정이다.

2) a series of actions that are done in order to achieve a particular result:
‘특정한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행해지는 일련의 행위들’이라는 의미로, ‘절차’로 해석됩니다.

① Thomas Jefferson was chosen to represent the democratic process.
토마스 제퍼슨은 민주적인 절차를 대표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② It's a good idea to begin by talking about the process of a meeting.
우선 회의의 절차에 관해 말하면서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 to make something ready to be used or sold, for example by preserving or improving them in some way:
‘무언가를 보존이나 어떤 식으로 향상시켜 판매 또는 사용할 상태로 만들다’의 의미로, ‘가공하다’로 해석됩니다.

① Goats' cheese may be processed in many ways.
염소 치즈는 많은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② Two million workers are employed processing goods for electronic firms.
이백만 명의 노동자들이 전자회사에서 물건들을 가공하는데 고용돼 있다.

4) to deal with an official document, request etc in the usual way:
‘공식적인 기록, 요청 등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다루다’의 의미로, ‘처리하다’로 해석됩니다.

① All university applications are processed through this system.
대학의 모든 지원서들은 이 시스템을 통해서 처리됩니다.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